경제

어떤 선택이 합리적인 선택일까? 가격은 누가 정하는 거지? 이런 호기심이 생긴다면 뉴스쿨과 함께 경제 공부의 첫 단추를 채워봐요.

Free

지하철·버스요금 8년 만에 오른다

서울시가 지난 12일 ‘교통 요금 조정 물가 대책위원회’를 열고 8년 만에 교통 요금을 올린다고 발표했어. 앞으로 지하철은 150원, 시내버스는 300원씩 요금이 인상 돼. 지난 2월 택시 기본요금이 1000원 오른데 이어 대중교통 요금이 또 오르는 거야. 교통 요금이 왜 자꾸 오르는지 쿨리가 알아봤어.

Premium

올릴까, 말까? 최저임금을 알아봐

우리의 부모님은 출근해서 열심히 일하고 돈을 벌어. 그 돈을 임금이라고 한대. 그런데 임금은 어떻게 정하는 걸까? 함께 알아보자.

Premium

귀하디 귀한 소금이 위기에 처했다?

얼마 전 대형마트에 갔는데 진열대에 소금이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거 있지. 무슨 일이 있는지 알아봤더니 일본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 물질이 섞인 오염수를 바다에 버리기로 했기 때문이래. 많은 사람들이 앞으로 생산하는 소금에는 방사능 물질이 포함돼 있을 거라고 걱정하고 있다나? 정말 앞으로 소금을 못 먹게 되는 걸까? 쿨리가 알아봤어.

Premium

'캐치티니핑' 많이 사면 가장 크게 웃는 어른은?

[제50호 뉴스쿨]어른들이 많이 하는 이야기 중 하나가 '주식'이야. 주식은 기업을 움직이고 많은 사람들을 울고 웃게 한다는데, 대체 주식이 뭐길래 그러는 걸까? 캐치티니핑을 통해 주식이 뭔지 한 번 알아보자!

Premium

캐치티니핑에 투자하려면 어디로 가야 할까?

캐치티니핑 인기를 끌면 제조사가 돈을 많이 번다는 건 알겠는데 그 덕에 주가가 많이 오른다는 건 무슨 얘기일까? 그리고 회사의 주인이 여러 명이라는 건 또 무슨 소리일까? 뉴쌤께 여쭤보자.

Premium

지하철도 버스도 적자 행진?

서울시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버스, 지하철 요금을 올리려고 한대. 대중교통을 운영하는 회사들의 곳간이 텅텅 비다 못해 빚을 잔뜩 지고 있다나? 어쩌다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

Premium

🏄지구가 유일한 주인이라는 이 회사

혹시 나쁜 짓을 저지른 기업이라고 해서 그 기업의 제품을 사지 않으려고 노력해본 적 있어요? 요즘은 환경을 해치거나 사회에 해로운 일을 저지른 기업들의 제품을 사지 않는 사람이 많대요. 왜 그럴까요?

Premium

은행에 돈을 맡기면 왜 이자를 줄까?

은행은 왜 고객들에게 이자를 주고, 반대로 또 이자를 받을까요? 은행이 예전보다 더 많은 이자를 준다는 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Premium

내 삶을 쥐락펴락하는 킹달러

미국에 가면 미국 돈인 달러를 써야 해요. 그런데 어른들은 미국 돈이 비싸졌다는 말을 자꾸 하네요. 돈이 비싸진다는 게 무슨 말이죠? 그리고 돈이 비싸지면 무슨 일이 생길까요?

Premium

1년만 맡겨도 연 3%...짠돌이 은행에 무슨 일이?

요즘 들어 금리(이자율)가 크게 올랐다는 뉴스가 많이 나옵니다. 금리가 오르면 누구에게 이득일까요? 금리가 오른다고 모두에게 이로운 건 아니라는데 왜 그런 걸까요?

Premium

레고가 비싸진대

어린이가 있는 집이라면 꼭 하나쯤 있는 레고. 안 그래도 비싼 레고 가격이 또 오른대요. 도대체 레고 가격을 올리는 범인은 누구일까요? 더 심각한 문제는 레고만 비싸지는 게 아니라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