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리가 간다]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
지금 세계 곳곳에서 전쟁이 끊이지 않고 벌어지고 있어. 그 중에서도 2년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전쟁은 수많은 희생자를 낳고 있어. 그런데 요즘 세계 여러 나라들이 앞다투어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겠다는 발표를 하고 있대. 그렇다면 팔레스타인이 지금까지 독립국가가 아니었다는 이야기인데... 이게 무슨 말일까? 쿨리가 취재한 이야기를 들어봐!
🔎
오늘 뉴스의 키워드
독립국가
독립국가
🤷🏼♂️
최근 국제사회에서 팔레스타인을 독립국으로 인정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프랑스는 오는 9월 열릴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하겠다고 발표했고, 영국과 캐나다, 몰타 등도 이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지난해에는 스페인, 아일랜드, 노르웨이 등 일부 유럽 국가들이 이미 팔레스타인을 독립국가로 인정했습니다. 국제사회의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이스라엘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가자지구 구하자...'두 국가 해법' 내세우는 지구촌
여러 나라들이 팔레스타인을 독립국으로 인정하는 배경에는 가자지구에서 벌어지고 있는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가 있습니다. 2023년 10월, 팔레스타인의 무장 단체인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한 직후 이스라엘은 가자지구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고 있습니다. 이 여파로 수많은 민간인이 목숨을 잃었고, 주택과 학교, 병원이 잇따라 파괴되었습니다. 팔레스타인 주민들은 식량과 의약품조차 구하지 못하고,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거처도 마련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유엔과 국제 구호단체들은 매일같이 “가자지구는 인도주의적 재앙 직전에 놓여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참상 속에서 많은 나라들이 팔레스타인을 이스라엘과 동등한 독립 국가로 인정하고 두 나라가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두 국가 해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안 돼"...미국도 지지
하지만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해서는 안 된다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곧 무장 단체 하마스를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것과 같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미국 역시 이스라엘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을 통치하는 합법적인 정부가 없고, 팔레스타인 국민이 거주하는 영토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팔레스타인을 독립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것입니다.
가자지구 구하자...'두 국가 해법' 내세우는 지구촌
여러 나라들이 팔레스타인을 독립국으로 인정하는 배경에는 가자지구에서 벌어지고 있는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가 있습니다. 2023년 10월, 팔레스타인의 무장 단체인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한 직후 이스라엘은 가자지구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고 있습니다. 이 여파로 수많은 민간인이 목숨을 잃었고, 주택과 학교, 병원이 잇따라 파괴되었습니다. 팔레스타인 주민들은 식량과 의약품조차 구하지 못하고,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거처도 마련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유엔과 국제 구호단체들은 매일같이 “가자지구는 인도주의적 재앙 직전에 놓여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참상 속에서 많은 나라들이 팔레스타인을 이스라엘과 동등한 독립 국가로 인정하고 두 나라가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두 국가 해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안 돼"...미국도 지지
하지만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해서는 안 된다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곧 무장 단체 하마스를 합법적으로 인정하는 것과 같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미국 역시 이스라엘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을 통치하는 합법적인 정부가 없고, 팔레스타인 국민이 거주하는 영토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팔레스타인을 독립국가로 인정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것입니다.

쿨리가 간다X꼬꼬단
뉴스 키워드: 독립 국가
국제법에서는 국가를 이루는 요소로 보통 네 가지를 꼽아. 영토, 국민, 주권을 가진 정부, 다른 나라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외교 능력이 바로 국가를 이루는 네 가지 요소야. 독립국가는 스스로 나라의 중요한 문제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하지.
국제사회가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하면, 팔레스타인은 국제기구의 정식 회원국이 될 수 있고 중요한 의사 결정에 참여할 권리를 갖게 돼. 그동안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에 비해 국제사회에서 제대로 된 발언권을 얻지 못했어. 소수의 나라들만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했기 때문이야. 그런데 국제사회가 인정하는 독립국가가 된다면 분쟁 해결 과정에서 보다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고 팔레스타인의 독립과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길도 열릴 거야.
다만 팔레스타인이 독립 국가로 인정받으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아. 미국과 이스라엘의 주장대로 팔레스타인은 하나의 정부가 통치하고 있지 않은 데다 가자지구를 통치하는 하마스는 국제사회가 테러단체로 보고 있기 때문에 한 국가를 이끄는 정부로 인정하는 데는 무리가 있어. 게다가 이스라엘과 갈등 때문에 팔레스타인 영토를 정하는 문제도 매우 복잡해. 그래서 당장 팔레스타인이 국제사회가 인정하는 독립국가가 되기는 어려울 거라는 의견도 많아.
[뉴스 Q&A]
Q. 가자 지구는 어떤 곳이야?
가자 지구(Gaza Strip)는 팔레스타인 서남부 지중해 연안에 있는 해안 지역을 말해. 길이는 약 41km, 폭도 6~12km으로 아주 좁고 기다란 모양의 땅이지. 이곳에는 오래 전부터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살고 있었어. 그런데 1948년 유대인들이 이스라엘을 건국하면서 분쟁이 끊이지 않는 곳이 되었어. 지금 벌어지고 있는 전쟁의 발단은 2023년 10월로 거슬러 올라가. 당시 팔레스타인의 무장 단체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했고 곧이어 이스라엘의 반격이 시작됐어. 전쟁이 2년 가까이 이어지면서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됐어. 가자지구 주민은 약 230만 명인데 이중 대부분이 기아 위기에 놓여 있다고 해. 최근 몇 주 사이에 굶어 죽는 사람들이 속출하고 있어. 이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들이 가자지구가 인도주의적 재앙의 직전에 있다고 경고하는 거야.
📖
내용 정리하기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미국이 이스라엘의 입장을 지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3.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우리나라는 팔레스타인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는 게 좋을까?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미국이 이스라엘의 입장을 지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3.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우리나라는 팔레스타인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는 게 좋을까?

❓QUIZ : 다음 중 [쿨리가 간다]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프랑스, 영국, 캐나다는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할 계획이야.
② 미국은 이미 오래 전에 팔레스타인을 독립 국가로 인정했어.
③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전쟁으로 가자 지구에서는 인도주의적 위기가 발생했어.
④ 가자지구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고 있어.
정답 : ②
함께 읽어볼 기사
세상을 바꾸는 영웅, 그레타 툰베리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5년 6월 13일에 발행한 제152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지구를 지키던 그레타 툰베리, 위험천만 전쟁터로 향하다 뉴스쿨TV - 가치 도표로 살펴본 툰베리의 삶PLAY - 내가 추구하는 가치는?!BOOKCLUB - 그레타 툰베리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6월 9일(현지시간) 오전 3시

전쟁은 이제 그만, 평화를 원해요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10월 11일에 발행한 제118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후세인 함자 아저씨가 위험천만한 레바논에 홀로 남은 이유뉴스쿨TV - 우리가 몰랐던 중동 이야기PLAY - 슬기로운 중동 탐구 생활BOOKCLUB - 아라비안 나이트로 시작하는 중동 탐험😔요즘 부모님이 보는 뉴스를 보니 온통 전쟁

[쿨리가 간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이제 그만 멈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전쟁이 계속되면서 무척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치고 있어. 어서 전쟁을 멈췄으면 좋겠는데, 오히려 주변 국가들이 전쟁에 참여하면서 분위기가 더 험악해지고 있다고 해. 그런데 얼마 전 전세계 여러 나라들이 모여서 이스라엘과 하마스(팔레스타인의 무장단체)에 전쟁을 그만 멈추라고 말했대. 투표를 했는데 여러 나라들이 ‘전쟁 중단’에 표를 던졌나봐. 오~ 그러면
.png)
50년 만에 다시 터진 중동 화약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데 이번에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서로 총부리를 겨누기 시작했대. 팔레스타인의 무장단체가 이스라엘의 민간인을 공격하면서 전쟁으로 번진 거야. 왜 이런 비극이 벌어진 걸까? 전쟁을 멈추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을까?

News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