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는 불교의 힘으로 세워진 나라였다?!

뉴스쿨
뉴스쿨
- 10분 걸림
답글달기
💡
쿨리는 다시 일본으로 가게 된 고려 금동관음보살좌상을 만나보고 싶어서 얼마 전 충남 서산에 있는 부석사에 다녀왔어. 그리고 이곳 스님들에게서 고려는 불교 국가였고 당시엔 불교 예술과 건축이 발전했다는 설명도 들을 수 있었어. 쿨리는 문득 고려 사람들에게 불교가 어떤 의미였는지 궁금해졌어. 오늘은 뉴쌤께서 고려시대의 불교 이야기를 들려주시겠다고 하니까 어서 가보자.
  • 쿨리 : 쌤! 얼마 전 부석사에 갔다가 고려가 불교 국가였다는 이야기를 듣게 됐어요. 당시엔 모든 고려 사람들이 불교를 믿었던 걸까요?
  • 뉴쌤 : 지금 우리나라 사람들은 다양한 종교를 믿지만 고려의 국교는 불교였어. 그러니까 왕실과 지배층부터 일반 백성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불교를 믿었다고 할 수 있지. 불교는 삼국시대에 전파됐고 통일신라 시대엔 널리 대중화됐어. 그리고 고려시대에는 국가 차원에서 불교를 장려하면서 더욱 발전하게 됐지. 여기 이 글을 읽어볼래?
  • 쿨리 : 훈요십조. 불교를 숭상하되, 사원의 폐단을 엄단하라. 사원을 함부로 짓지 마라.
    연등과 팔관 등을 소홀히 하지 말라.
  • 뉴쌤 : 훈요십조는 943년 왕건이 세상을 떠나기 전에 후대 임금이 지켜야 할 열 가지 교훈을 남긴 거야. 열 가지 중에서 불교와 관련된 것이 세 가지나 되지. 왕건은 고려가 불교의 힘으로 세워진 나라라고 굳게 믿었어. 그래서 후대의 왕들도 왕건의 가르침에 따라 불교를 장려했고 고려 왕조가 부처의 보살핌을 받고 있다는 걸 은연중에 강조하기도 했어.
  • 쿨리 : 어째서 왕건은 고려가 불교의 힘으로 세워졌다고 생각한 거예요?
  • 뉴쌤 : 이 이야기를 하려면 우선 통일신라 후기부터 고려가 건국되기까지의 과정을 먼저 살펴봐야 해. 신라는 삼국통일 이후 눈부시게 발전했지만 8세기 후반에는 귀족들이 권력 다툼을 벌이면서 무척 혼란스러웠어. 멸망하기 전 150년간 왕이 무려 20번이나 바뀔 정도였지. 이런 혼란을 틈타 지방에선 호족들이 힘을 키웠지. 호족이라는 건 지방의 세력들을 말해.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 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세운 태조 왕건, 후백제를 세운 견훤도 모두 호족들이었어.
  • 쿨리 : 궁예가 입은 옷이 예사롭지 않은데요? 혹시 스님인가요?
  • 뉴쌤 :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지는 않지만 원래 궁예는 신라의 왕족 출신으로 알려져 있어. 후궁이 낳은 아들이라 버림을 받았고 절에 들어가 승려가 됐다고 하지. 이후 반란군을 이끌게 된 궁예는 처음엔 부하들을 잘 챙기고 일을 추진하는 능력도 뛰어나서 따르는 사람들이 많았어. 왕건도 처음엔 궁예를 따르는 호족이었지. 불교에선 석가모니 다음으로 미륵이 세상에 나타나 사람들을 구해준다고 하는데, 궁예는 자신이 바로 미륵이라며 백성들의 마음을 얻었어. 하지만 왕이 되고 난 뒤엔 주변 사람들과 백성들을 의심해 처참하게 죽이는 일이 많았어.
  • 쿨리 : 그래서 모두들 등을 돌리게 된 거예요?
  • 뉴쌤 : 그래 맞아. 왕건과 몇몇 장수들은 함께 손을 잡고 궁예를 쫓아냈어. 그리고 고구려를 잇는다는 의미로 새로운 나라 '고려'를 세웠지. 이후 후삼국을 통일한 왕건은 후백제, 신라 출신의 사람들을 하나로 뭉치게 하려면 함께 믿는 종교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어. 그래서 불교를 국교로 내세우고 나라 곳곳에 큰 절을 짓기도 했어.
  • 쿨리 : 쌤, 그런데 아까 훈요십조에 있던 연등과 팔관은 뭐예요?
  • 뉴쌤 : 연등과 팔관은 불교행사였던 연등회와 팔관회를 말해. 나라의 아주 큰 종교행사였지. 연등회는 대보름날에 연꽃 모양의 연등을 밝히고 거리를 행진하는 행사였어.
  • 쿨리 : 아! 지금도 석가탄신일에 연등행사를 하잖아요.
  • 뉴쌤 : 그래 맞아. 고려시대에 했던 행사가 지금까지 이어지는 거야. 팔관회는 신라 때부터 했던 불교행사지만 고려 때는 하늘의 신, 산과 강의 신, 용신을 섬기는 행사까지 더해서 더욱 크게 발전했어. 팔관회 날이면 용, 봉황, 말, 코끼리 모양으로 꾸민 큰 수레를 따라 악단과 무용수, 광대들이 거리 행진을 했는데, 잔치와 공연이 밤새 이어졌다고 해.
  • 쿨리 : 거리행진은 지금 놀이공원에서 하는 퍼레이드 같은 거네요?
  • 뉴쌤 : 그렇지. 고려 사람들뿐만 아니라 송, 일본, 여진 등 다른 나라에서 온 사신과 상인들도 참석할 정도로 큰 행사였어.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불교의 폐단도 컸어. 백성들은 팔관회 같은 불교 행사를 화려하게 치르기 위해서 재물과 노동력을 바쳐야 했어. 그리고 불상을 만들 때도, 절을 지을 때도 백성들이 동원됐지. 그래서 고려 6대 임금인 성종 때는 불교 행사를 간소하게 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근간은 불교가 아닌 유교를 중심으로 해야 한다는 상소(최승로의 '시무28조')가 올라오기도 해. 상소를 받은 성종은 대부분의 의견을 받아들여 지나치게 화려한 불교 행사를 금지했어.
    자, 이제 불교 예술과 건축도 살펴보자. 쿨리는 고려시대의 문화유산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이 있니?
  • 쿨리 : 네! 고려청자요. 아... 그리고... 예전에 쌤이 이야기해주신 금속활자... 뭐더라... 직지심체요절이요!
  • 뉴쌤 : 우와~ 많이 알고 있는걸. 고려청자, 금속활자만 봐도 알 수 있듯이 고려 사람들은 기술력과 손재주가 대단했어. 특히 고려 사람들은 기쁠 때나, 힘들 때, 나라에 큰 위기가 닥쳤을 때도 탑을 쌓거나 돌에 부처님을 새기고 부처님의 말씀을 활자로 남기며 복을 빌었지. 대표적인 것이 팔만대장경이야. 고려 때는 몽골(원)의 침입이 잦았는데 고려 사람들은 몽골을 물리치려는 마음을 담아서 무려 오천만 자가 넘는 글자를 목판에 새겨넣었어.
  • 쿨리 : 팔만대장경이라고 해서 글자수가 팔만 자인 줄 알았는데 오천만 자라니.... 건물을 가득 채울 만큼 엄청 많네요.
  • 뉴쌤 : 그래. 팔만대장경을 높이 쌓으면 3200m 가량 된다고 해. 백두산보다 높은 거야. 자, 여기 있는 불상도 볼까? 고려 전기에는 철이나 돌로 만든 거대한 불상이 많았어. 이렇게 큰 불상을 많이 만든 건 당시 자신의 힘을 과시하고 싶어했던 호족 세력들이 앞다투어 대형 불상을 만들었기 때문이야.
  • 쿨리 : 쌤 이건 그림이에요?
  • 뉴쌤 : 그래. 고려 후기에는 아름답고 화려한 불화가 많이 제작됐어. 정교한 문양과 화려한 장식이 돋보이지. 특히 금가루로 채색을 한 작품도 많아.
  • 쿨리 : 그림에 금가루라니!
  • 뉴쌤 : 빛깔이 아주 곱지? 불교 건축물도 소개해줄게. 고려 때 지은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지금까지 남아있는 목조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거야. 그리고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도 아주 유명하지. 이런 기둥의 모양을 배흘림기둥이라고 해. 아주 안정감 있어 보이지?
  • 쿨리 : 제가 다녀온 부석사랑은 다른 부석사가 또 있네요?
  • 뉴쌤 : 그래 맞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에서 아름답기로 손에 꼽히는 목조 건축물이야. 고려시대에는 아주 많은 사원을 지었다고 하는데 안타깝게도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이 많지 않아. 목재는 시간이 흐르면서 잘 훼손되기도 하고 전쟁과 화재로 소실된 경우도 많았거든.
  • 쿨리 : 그래도 금동관음보살좌상 덕분에 고려시대와 당시의 불교 예술에 대해 많은 걸 알 수 있었어요. 금동관음보살좌상이 꼭 우리나라에 다시 오면 좋겠어요!
  • 뉴쌤 : 그래. 우리 모두 그날을 오기를 손꼽아 기다려 보자~

✅전파

✅대중화

✅장려

✅상소

✅폐단

✅근간

❓다음 친구들이 뉴스쿨TV를 보고 고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어.  친구들의 이야기가 옳으면 O, 틀리면 X 표시를 해봐. [내용 이해]

① 서준 : 고려시대에는 왕실부터 일반 백성까지 대부분의 사람들이 불교를 믿었어. (    )
② 바름 : 세종대왕은 고려의 왕들이 지켜야 할 열 가지 교훈, '훈요십조'를 만들었어. (    )
③ 서아 : 고려시대에는 연등회와 팔관회라는 큰 불교 행사를 치렀어. (     )
④ 아림 : 팔만대장경을 높이 쌓으면 백두산보다 높다고 해.  (     )

정답 확인하러 가기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뉴스쿨TV
답글달기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무료로 읽을 수 있는 콘텐츠를 모두 읽었습니다 😧

구독하시면 더 많은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