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게이츠 같은 부자들은 왜 자꾸 기부를 할까?

뉴스쿨
뉴스쿨
- 9분 걸림
답글달기
💡
쿨리는 만약 부자가 된다면 매일 돈을 펑펑 쓰며 하고 싶은 것을 다 해볼 거야. 그런데 이번 주 뉴스쿨을 통해 만나본 빌 게이츠 아저씨는 쿨리가 상상하던 부자의 삶과는 전혀 딴판으로 살고 있더라. 늘 검소하게 생활하고 재산의 대부분을 기부해. 그리고 사업으로 큰돈을 버는 데만 몰두하지 않고 못 사는 나라에 백신과 의약품을 보급하는 데 앞장서기도 하고 기후 재난에 대응하는 데 많은 돈을 투자하기도 해. 남부러울 것 없는 부자인 빌 게이츠 아저씨는 어째서 부자답게 떵떵거리며 살지 않는 걸까? 뉴쌤께 여쭤봐야겠어.
  • 쿨리 : 쌤! 제가 부자가 된다면 저는 정말 남들이 엄청 부러워할 만큼 화려하게 살 텐데 빌 게이츠 아저씨는 왜 그러지 않는 걸까요?
  • 뉴쌤 : 혹시 쿨리는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니?
  • 쿨리 : 어느 나라 말이에요?
  • 뉴쌤 : 프랑스어야. 노블레스는 귀족을 뜻하고, 오블리주는 의무가 있다는 의미인데, 지금 식으로 해석하면 명예와 부를 가진 사람들이 져야 할 사회적 책임을 말해.
  • 쿨리 : 부자가 되면 꼭 사회적 책임이라는 걸 져야 해요?
  • 뉴쌤 : 쿨리의 질문에 답하기 전에 올바른 사회는 어때야 하는지 먼저 이야기해 볼까? 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은 크고 작은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아가고 있지. 우리가 속한 공동체는 가정부터 시작해서 학교와 회사, 마을, 국가, 그리고 세계로 확장되지.
  • 쿨리 : 세계는 엄청 넓은데 공동체라고 할 수 있을까요?
  • 뉴쌤 : 쿨리는 혹시 텔레비전에서 제때 치료도 받지 못하고 굶주리는 아프리카 어린이들을 후원해 달라고 하는 광고 영상을 본 적이 있니?
  • 쿨리 : 네. 저희 부모님이 권하셔서 매달 3000원씩 아프리카 어린이들을 위해 기부도 하고 있어요. 그리고 예전에 튀르키예에서 지진으로 많은 사람들이 죽고 다쳤을 때 저금통에 모아놨던 용돈을 기부한 적도 있어요.
  • 뉴쌤 : 기부를 할 때 쿨리는 어떤 마음이었어?
  • 쿨리 : 우리나라에선 먼 곳이지만 그곳에 사는 사람들도 저처럼 안전하고 건강하게 살면 좋겠다는 마음이었어요.
  • 뉴쌤 : 쿨리 이야기를 들어보니 쿨리는 이미 세계 시민으로서 제 역할을 하고 있는걸. 쿨리의 행동은 세계를 좀 더 나은 사회로 만들려는 실천으로 보이거든. 많은 사람들, 특히 기부를 하는 사람들은 자기가 속한 공동체를 좀 더 낫게 만들기 위해 기부를 하는 거야. 가령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다면 경제적 불평등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겠지. 그리고 환경보호를 위해 기부한다면 기후위기를 해결하는 데 보탬이 될 거야.
  • 쿨리 : 그런데 그건 누구나 할 수 있는 거잖아요.
  • 뉴쌤 : 그래. 나눔과 봉사, 기부에 동참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우리가 사는 세상은 더 아름답고 살기 좋아질 거야. 그런데 우리 사회는 부자들에게 더 많은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고 있어. 왜냐면 이들이 부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속한 공동체 덕분이었거든. 빌 게이츠를 예로 들어보면 수많은 미국인들, 나아가 전 세계 사람들이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소프트웨어를 사준 덕분에 부자가 될 수 있었지. 그러니 벌어들인 돈의 일부를 미국, 나아가 세계에 환원해야 할 의무가 있는 거야.
  • 쿨리 : 환원이요?
  • 뉴쌤 : 환원이란 건 본래의 자리로 돌려 놓는 거야. 보통 사회 환원이라고 많이 표현하는데 개인이나 기업 등이 벌어 들인 이익을 사회에 돌려주는 걸 말해.
  • 쿨리 : 빌 게이츠 말고도 기부를 많이 하는 부자들이 많아요?
  • 뉴쌤 : 그럼. 세계 최고의 부자였던 미국의 석유재벌 록펠러도 처음에는 재산을 모으는 데만 몰두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가난한 사람들을 도우며 살겠다'고 결심했고 전 재산을 사회에 내놨어. 그리고 투자의 귀재로 꼽히는 워런 버핏도 지금까지 기부한 돈이 우리 돈으로 82조 원이 넘는대.
  • 쿨리 : 82조 원이요?... 저라면 죽었다 깨어나도 그런 돈을 기부하지는 못할 것 같아요.
  • 뉴쌤 : 세상 사람 모두가 지나치게 자기 이익만 좇는다면 가난한 사람은 더욱 가난해지고 갈등은 커질 거야. 그리고 환경은 파괴되고 사회에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겠지. 그래서 좋은 사회를 이루려면 개인의 이익과 공동체의 이익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뤄야 하고 그 방법이 바로 기부와 나눔이라고 할 수 있어.
  • 쿨리 : 그런데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려면 꼭 돈을 기부해야 해요?
  • 뉴쌤 : 그렇지 않아. 돈을 기부할 수도 있지만 재능을 기부할 수도 있고 생명을 기부할 수도 있지. 그리고 봉사활동을 할 수도 있지.
  • 쿨리 : 재능과 생명은 어떻게 기부해요?
  • 뉴쌤 : 우리 쿨리는 번뜩이는 아이디어와 기지를 갖추고 있으니 그런 재능을 활용해서 더 많은 사람들이 환경 문제나 불평등 문제에 관심을 갖도록 글이나 영상을 만들 수도 있겠지. 그리고 헌혈을 해서 생명을 구하는 것도 생명 기부라고 할 수 있어.
  • 쿨리 : 아... 그런 방법은 생각하지 못했어요.
  • 뉴쌤 : 나눔과 봉사, 기부는 결코 어려운 게 아니야. 쿨리와 친구들은 '마음 나누기 4단계'로 아주 쉬운 것부터 실천해보면 좋겠어.
  • 쿨리 : 마음 나누기 4단계요?
  • 뉴쌤 : 1단계는 관심 기울이기야. 우선 주변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있는지 살펴봐야겠지. 누군가 도움이 필요해 보인다면 관심을 가지고 주의를 기울이는 거야. 그리고 2단계는 공감하기야. 상대방의 상황과 처지, 마음을 깊이 이해하고 상대방을 진심으로 존중하는 마음을 지니는 거야.
  • 쿨리 : 관심을 기울이는 것과 공감하기는 잘 할 자신 있어요.
  • 뉴쌤 : 좋아. 그 다음으로는 상대방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생각해보고 그 중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찾아보는 거야. 상대방을 어떻게 도울지 깊이 생각한 뒤에 계획을 세우고 준비하는 거야.마지막 4단계는 실천이야.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리며 용기 있게 실천해. 그런데 상대방이 바라는 것이 아니면 잠시 멈추거나 다른 방법을 찾는 거야. 도움을 받는 사람의 마음이 상하면 안 되니까 배려하며 친절하게 해야겠지.
  • 쿨리 : 일단 교실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누가 제 도움을 필요로 할지 살펴봐야겠어요.
  • 뉴쌤 : 그래! 어떻게 실천했는지 다음에 꼭 이야기해 줘!!

✅떵떵거리다

✅노블레스 오블리주

✅사회적 책임

✅공동체

✅사회 환원

✅경제적 불평등

❓뉴스쿨TV에서 '노블레스 오블리주'라는 말을 배웠어.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나만의 생각을 한 문장으로 적어봐. [문장 쓰기]

정답 확인하러 가기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뉴스쿨TV
답글달기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무료로 읽을 수 있는 콘텐츠를 모두 읽었습니다 😧

구독하시면 더 많은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