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리가 간다 ] 세계에서 가장 평화로운 나라는?

📚
우리나라는 평화로운 나라일까? 뉴스쿨러 친구들은 이런 질문을 받는다면 뭐라고 답할 거야? 쿨리는 우리나라가 평화롭다고 생각해. 그런데 다른 나라 사람들은 우리나라가 언제든 전쟁이 벌어질 수 있는 나라라고 생각한대. 그런데 세계에는 군대가 필요 없는 나라도 있어.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얘기지. 그런 나라는 도대체 어디일까? 쿨리가 소개해 줄게.
🔎
오늘 뉴스의 키워드
평화, 군사력
평화, 군사력
🤷🏼♂️
전 세계에서 가장 평화로운 나라는 어디일까요? 호주의 싱크탱크 경제평화연구소(IEP)가 발표한 ‘세계평화지수(GPI) 2025’에서 아이슬란드는 '세계에서 가장 평화로운 나라'로 뽑혔습니다. 평화지수는 사회 안전·안보, 국내외 갈등, 군사화 수준 등 세 가지 영역을 평가해 순위를 매깁니다. 점수가 1점에 가까울수록 평화로운 상태를 의미하는데요. 아이슬란드는 1.095점으로 대상국 중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습니다.
전쟁 위험•범죄율 낮은 아이슬란드...평화의 비결은?
인구가 약 40만 명에 불과한 아이슬란드는 정규군이 없는, 전 세계의 몇 안 되는 나라 중 한 곳입니다. 전쟁이나 테러의 위험이 크다면 군대나 무기가 많이 필요하겠죠. 그러나 평화로운 아이슬란드는 국방비 지출이 매우 적고 무기를 사는 일도 드뭅니다. 이런 이유로 아이슬란드는 한 나라가 군사력에 얼마나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지, 또 무기를 얼마나 많이 갖추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군사화’ 항목에서 최상위 점수를 받았습니다. 아이슬란드는 살인율과 폭력 범죄율 역시 세계 최저 수준일 정도로 치안이 안정적입니다. 국경 분쟁이나 테러 위협, 내전 등 갈등 요인도 거의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그밖에 상위권에는 아일랜드(2위), 뉴질랜드(3위), 호주와 스위스(공동 4위)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세계 최강대국 미국도 128위, 한국 순위는?
강대국이라고 해서 반드시 순위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세계 최강국으로 꼽히는 미국은 128위에 머물렀습니다. 군사력을 키우는 데 많은 돈을 쓰고 있는 데다 해외의 여러 분쟁에 개입하고 있고, 국내에서 총기 범죄와 사회적 분열이 잦다는 점 때문입니다. 한국은 비교적 치안 상태가 좋은 나라로 꼽히지만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로 북한과 군사적 긴장 상태를 이어가고 있는 탓에 41위를 차지했습니다. 반면 북한은 149위에 올라 아시아 국가 가운데 미얀마(148위) 다음으로 낮았습니다.
전쟁 위험•범죄율 낮은 아이슬란드...평화의 비결은?
인구가 약 40만 명에 불과한 아이슬란드는 정규군이 없는, 전 세계의 몇 안 되는 나라 중 한 곳입니다. 전쟁이나 테러의 위험이 크다면 군대나 무기가 많이 필요하겠죠. 그러나 평화로운 아이슬란드는 국방비 지출이 매우 적고 무기를 사는 일도 드뭅니다. 이런 이유로 아이슬란드는 한 나라가 군사력에 얼마나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지, 또 무기를 얼마나 많이 갖추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군사화’ 항목에서 최상위 점수를 받았습니다. 아이슬란드는 살인율과 폭력 범죄율 역시 세계 최저 수준일 정도로 치안이 안정적입니다. 국경 분쟁이나 테러 위협, 내전 등 갈등 요인도 거의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그밖에 상위권에는 아일랜드(2위), 뉴질랜드(3위), 호주와 스위스(공동 4위)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세계 최강대국 미국도 128위, 한국 순위는?
강대국이라고 해서 반드시 순위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세계 최강국으로 꼽히는 미국은 128위에 머물렀습니다. 군사력을 키우는 데 많은 돈을 쓰고 있는 데다 해외의 여러 분쟁에 개입하고 있고, 국내에서 총기 범죄와 사회적 분열이 잦다는 점 때문입니다. 한국은 비교적 치안 상태가 좋은 나라로 꼽히지만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로 북한과 군사적 긴장 상태를 이어가고 있는 탓에 41위를 차지했습니다. 반면 북한은 149위에 올라 아시아 국가 가운데 미얀마(148위) 다음으로 낮았습니다.

쿨리가 간다X꼬꼬단
뉴스 키워드: 군사력
군사력(軍事力)은 한 나라가 전쟁이나 분쟁 상황에서 스스로를 지키거나 다른 나라를 공격할 수 있는 힘을 말해. 대개는 나라를 지키는 군대의 규모를 군사력이라고 표현하지. 군사력은 단지 군인의 수를 말하는 게 아니야. 무기, 전차, 전투기, 전함 등의 장비가 얼마나 첨단화되어 있는지, 또 국방비(나라가 매해 국방을 위해 쓰는 돈)가 얼마나 되는지도 군사력을 평가하는 지표야. 군사력이 강하면 외부의 공격을 막을 수 있고 나라의 안전을 지키는 데 도움이 돼. 하지만 군사력이 지나치게 커지면 주변국과 긴장을 일으키고 전쟁의 위험을 높일 수도 있어. 그래서 국제사회에서는 군사력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대화와 협력을 통해 분쟁과 갈등을 해결하는 나라를 높이 평가해.

[뉴스 Q&A]
Q. 아이슬란드에는 왜 정규군이 없어?
아이슬란드는 북유럽의 작은 나라야. 우리나라 인구의 100분의 1도 안 되는 약 40만 명 정도가 살고 있고, 땅도 섬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다른 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지 않아. 그래서 국경을 지킬 만큼 큰 군대가 필요하지 않지. 그래서 우리 나라처럼 국민이 군대에 의무적으로 갈 필요가 없어. 아이슬란드는 오래 전부터 다른 나라와 큰 전쟁을 벌인 적도 거의 없고, 대부분 평화롭게 살아왔거든.
또한 아이슬란드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라는 국제 군사 동맹에 속해 있어. 나토 회원국들은 회원국들끼리 서로 지켜주기로 약속해서 아이슬란드가 공격을 받으면 미국이나 영국 같은 다른 나토 회원국들이 함께 맞서 싸우게 돼 있지. 이렇게 강한 군사 동맹이 뒷받침되기 때문에 아이슬란드는 정규군이 없어도 큰 걱정이 없는 거야.
📖
내용 정리하기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우리나라가 지금보다 평화로워지려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
3. 내가 생각하는 평화의 기준이 있다면 자유롭게 이야기해봐.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우리나라가 지금보다 평화로워지려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
3. 내가 생각하는 평화의 기준이 있다면 자유롭게 이야기해봐.

❓QUIZ : 다음 중 [쿨리가 간다]에서 소개한 '세계에서 가장 평화로운 나라'에 대해 잘못 이해한 친구는?
① 소윤: '세계에서 가장 평화로운 나라'는 호주의 연구기관이 선정해.
② 지윤: 올해 '세계에서 가장 평화로운 나라'로 아이슬란드가 뽑혔어.
③ 나윤: 미국은 강대국이라서 '세계에서 가장 평화로운 나라' 순위에서 상위권을 차지했어.
④ 정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평화로운 나라' 순위에서 100위 안에 들었어.
정답 : ③
함께 읽어볼 기사
전쟁이 벌어지면 제일 먼저 ‘이것’부터 하세요!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11월 22일에 발행한 제124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전쟁이 나면 이 책부터, 우리 집에 배달 온 노란 책의 정체HEADLINE + - 전쟁이 나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PLAY - 우리 가족 재난 상황 행동 수칙BOOKCLUB - 전쟁 속에서 우리는

전쟁은 이제 그만, 평화를 원해요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10월 11일에 발행한 제118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후세인 함자 아저씨가 위험천만한 레바논에 홀로 남은 이유뉴스쿨TV - 우리가 몰랐던 중동 이야기PLAY - 슬기로운 중동 탐구 생활BOOKCLUB - 아라비안 나이트로 시작하는 중동 탐험😔요즘 부모님이 보는 뉴스를 보니 온통 전쟁

한반도에 벌어진 풍선전쟁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6월 7일에 발행한 제101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펑’ 터진 쓰레기 풍선, ‘쩍’ 갈라진 남북 평화의 약속뉴스쿨TV - 남과 북은 왜 다투기만 할까? PLAY - 통일 픽토그램 만들기 BOOKCLUB - 통일과 평화를 이야기하는 책🎈얼마 전 인터넷에서 사람 몸집보다

[쿨리가 간다] 국민 절반이 이민 신청... 투발루에 무슨 일이?
📚뉴스쿨러 친구들! 혹시 투발루라는 나라를 알아? 아마 들어본 적 있는 친구들도 많을 거야. 투발루는 점점 바다 밑으로 가라앉고 있는 작은 섬나라야. 만약 우리나라가 바다 밑으로 끝없이 가라앉아버린다면 어떻게 될까? 우리가 살 곳이 줄어들거나 사라지겠지? 지금 투발루 주민들도 그런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해. 그래서일까? 얼마 전 투발루 국민의 절반 이상이 호주

News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