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쿨X하브루타]잘 쓰면 약, 못 쓰면 독! 익명성의 두 얼굴

전 세계 900만 명이 자기 신분을 밝히지 않고 쓰는 유명한 소셜미디어(SNS)가 있는데 글쎄 그게 한국 회사가 만든 거래.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의 '블라인드'라는 앱이라는데 여기선 모르는 사람들끼리 위로를 해주기도 하고 도움을 주기도 한대. 익명으로 운영되는 온라인 공간에선 악플만 쌓이는 줄 알았는데 아니네? 그럼 우리 이참에 익명성에 대한 이야기를 좀 해볼까?

쿨리
쿨리
- 7분 걸림
답글달기

👉
요즘 회사에 다니는 어른들 사이에서 ‘블라인드(blind)’란 온라인 커뮤니티가 인기를 끌고 있대. '블라인드'는 ‘보이지 않다’는 뜻인데, 이름처럼 서로 정체를 밝히지 않고 소통할 수 있게 익명이 보장된 온라인 공간이야. 이용자들은 자기가 누군지 밝히지 않고 개인적인 문제부터 회사에 대한 불만까지 거침없이 터놓고 이야기한대. 왠지 지난번 기사에 등장했던 ‘악플러’들이 활개를 치고 다닐 것 같다고? 천만에. 이 공간은 익명의 순기능을 잘 이용한 덕분에 전 세계 900만 명이 사용하는 커뮤니티로 성장했어. 잘 쓰면 약, 못 쓰면 독이 되는 ‘익명성’에 대해 함께 이야기 나눠보자.

Q. 익명성은 나쁜 거 아니야?

혹시 친구들이 나만 따돌려서 속상했던 적 있었니? 선생님이 나만 미워하는 것 같아 화가 났던 적은? 도와달라고 외치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지만 창피하고 쑥스러워 말하지 못했던 경험, 누구에게나 있을 거야. 요즘 어른들은 그런 어려움이 있을 때 '블라인드'처럼 익명이 보장된 온라인 공간에 속 시원히 쏟아낸대. 이름, 나이, 직업 같은 개인 정보를 드러내지 않으니까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솔직하게 털어놓는 거지. 이렇게 누군가 글을 써서 올리면 같은 경험을 했거나, 조언해줄만한 정보를 가진 사람들이 나서 실제로 문제가 해결되도록 적극적으로 돕는대. 얼굴도 모르는 낯선 타인끼리 서로 돕고 응원하는 거야.

Q. 모르는 사람끼리 도울 수 있다고?

서로 누군지 모르니까 도움을 요청한 사람도, 도움을 주는 사람도 거리낌 없이 자기 경험을 나눌 수 있는 거야. 어려운 일을 당한 사람이 자기 사연을 써서 올리면 다른 이용자들이 자기가 직접 썼던 방법이나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알려줘. 그 사람에게 도움이 될만한 사람을 소개해주기도 하고. 여러 사람이 머리를 맞대면 다양한 생각과 의견이 모여 훨씬 더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 이런 게 바로 익명성이 갖는 순기능이야. 앞서 말한 블라인드는 이용자들 사이에 상부상조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어. 지난달엔 한국계 스타트업 최초로 미국 시사 주간지 타임(TIME)이 발표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대 기업'에 선정되기도 했어.

Q. 자신의 신분을 감추고 나쁜 말을 쏟아내는 사람들도 있잖아?

익명성을 나쁘게 이용하는 사람들은 어디에나 있어. ‘내가 그랬는지 아무도 모르겠지’란 비겁한 마음으로 누군가를 공격하거나 상처 주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 말이야. 실제로 온라인 포털 사이트의 뉴스 기사에는 자신의 신분을 감추고 악담을 퍼붓는 사람들이 많아. 악플의 폐해에 대해서는 아래 기사를 읽어봐. 중요한 건 익명성에 순기능과 역기능이 있다는 걸 모두가 정확히 알아야 한다는 거야. 순기능은 어떤 일이 만들어낸 결과가 좋을 때를 말하는 반면, 역기능은 본래 목적과 다르게 나쁜 결과를 낳은 것을 말해. 익명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용하도록 우리 모두 노력하는 게 중요해.

″이 글을 쓴 사람은 악플러입니다”
인터넷에 악의적인 댓글을 쓰는 일, 사실은 굉장히 나쁜 일인 거 알고 있어? 누군가는 댓글 때문에 상처를 받고 힘든 시간을 보내기도 해. 그래서 포털 사이트가 팔을 걷어붙였대. 어떤 뉴스인지 들어볼까?
악플이 나쁜 진짜 이유
악성댓글을 적는 사람을 엄중하게 관리한다고 하는데 나는 악성댓글과 그냥 댓글의 차이를 잘 모르겠어. 악성댓글이 무엇이고, 왜 조심해야 하는지 뉴쌤께 여쭤보자!

뉴쌤과 함께 하브루타!

💡
익명성의 좋은 점과 나쁜 점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뉴스쿨러 친구들은 익명성의 순기능이 더 크다고 생각해? 아니면 역기능이 더 크다고 생각해? 익명성이 보장됐을 때 순기능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과 역기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 사례를 비교해서 자기 생각을 말해 보자.
🧠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란 이야기 잘 알고 있지? 무척 큰 귀를 가진 임금님이 백성들에게 귀를 감추고 싶어서 머리카락도 자르지 않고 모자를 쓰고 버티다가 결국 이발사를 불러 이발을 하기로 했잖아. 임금님의 비밀을 알게 됐지만 누군가에게 비밀을 알렸다가는 목숨을 잃을 처지에 놓인 이발사는 속으로만 끙끙 앓다가 병을 얻었지. 그러다 아무도 들을 수 없는 곳에 비밀을 털어놓으면 병이 낳을 것이라는 의사의 조언을 듣고 대나무 숲에서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외쳤는데 그때부터 대나무 숲에선 바람만 불면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소리가 들렸다지? 이발사가 지금 우리와 같은 시대에 살았다면 어떻게 행동했을까? 숲이 아닌 다른 곳에 비밀을 털어놓지는 않았을까? 이야기의 시간적 배경이 ‘2023년’이라면 결말이 어떻게 바뀔까? 가족, 친구들과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생각 주머니를 콕콕 자극해보자!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사회쿨리가 간다NewsSNS하브루타토론찬반윤리누리꾼
답글달기

쿨리

나는 뉴스쿨의 귀염둥이 리포터 쿨리! 궁금한 것이 있으면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어디든 달려가 진실을 파헤치는 요리조리 쿨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