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도 소비 쿠폰 받아요!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5년 7월 11일에 발행한 제156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 HEADLINE - 문구점에서 한 푼 슈퍼에서도 두 푼...어린이도 소비 쿠폰으로 경제 살려요!
- 뉴스쿨TV - 소비쿠폰 똑똑하게 쓰고 싶은 어린이 모여라
- PLAY - '소비 쿠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BOOKCLUB - '돈'에 대해 알려주는 따끈따끈한 새책


문구점에서 한 푼 슈퍼에서도 두 푼
어린이도 소비 쿠폰으로 경제 살려요!
오는 21일부터 우리나라의 국민은 최소 15만 원의 '소비 쿠폰'을 받게 됩니다. 소비 쿠폰은 정부가 국민에게 지급하는 현금성 지원금으로, 신용·체크카드나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형태로 받아 음식점, 슈퍼마켓, 편의점 등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비 쿠폰은 소비를 늘리기 위해 정부가 마련한 특단의 대책입니다. 최근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서 중소 규모의 가게를 운영하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가 많은 어려움을 겪자 이 같은 대책을 내놓은 것입니다. 사람들이 소비 쿠폰으로 전보다 더 많이 물건을 사고 음식을 사 먹으면 소상공인, 자영업자는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지역 경제가 살아나고 우리나라 경제도 조금씩 살아날 수 있다고 본 것입니다.
곧 태어날 신생아도 최소 15만 원씩...동네 가게에서만 사용

소비 쿠폰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습니다. 어른들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어린이들도 신청만 하면 소비 쿠폰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정부는 올해 10월 31일까지 출생 신고를 마친 신생아에게도 소비 쿠폰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소비 쿠폰은 1차와 2차로 나누어 지급합니다. 1차 때는 1인당 기본 15만 원을 받습니다. 다만 매우 형편이 어려운 기초생활 수급자나 차상위계층, 한 부모 가정이라면 30만~40만 원을 받아요. 또 수도권이 아닌 곳에 산다면 3만 원을, 인구 소멸 지역에 산다면 5만 원을 더 받을 수 있어요. 그리고 오는 9월 22일부터 시작되는 2차 지급 때는 돈을 비교적 많이 버는 상위 10%의 국민을 제외하고, 나머지 90%에게 10만 원을 추가로 줍니다.
소비 쿠폰을 아무 데서나 사용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서울에 사는 사람은 서울에서, 경기도에 사는 사람은 경기도에서만 쓸 수 있어요.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배달 앱 등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주로 동네 음식점이나 슈퍼마켓, 편의점 등 작은 가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 장소가 정해져 있습니다. 과거 코로나19 당시 지급한 재난 지원금과 달리 이번 소비 쿠폰은 작은 규모의 가게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지급되기 때문입니다.
소비쿠폰 받는다고 살림살이 나아질까...역효과 우려도
누구나 소비 쿠폰이 반가울 법 하지만 곱지 않은 시선도 있습니다. 하루 씀씀이가 1만 원인 사람이 소비 쿠폰을 받았다는 이유로 2만 원 혹은 3만 원을 소비하게 될까요?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 소상공인을 돕는다는 목표를 달성하지도 못하고 나라빚만 늘어나는 역효과가 생길 수 있습니다. 정부는 이번 소비 쿠폰 발급을 위해 13조 2000억 원의 예산을 쓰는데요. 이 같은 예산은 국민이 내는 세금이나 빚을 통해 마련할 수밖에 없습니다.
소비쿠폰과 같은 현금성 지원을 통해 소비가 늘어나면 물가가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사람들이 갑자기 많은 돈을 쓰게 되면 가게나 기업들이 물건의 가격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죠. 그 결과 오히려 생활비 부담이 커질 수도 있습니다.
1. 오늘 이야기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나라에서 어린이들에게도 소비 쿠폰을 지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3. 사람마다 받을 수 있는 소비 쿠폰의 금액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 HEADLINE - 문구점에서 한 푼 슈퍼에서도 두 푼...어린이도 소비 쿠폰으로 경제 살려요!
- 뉴스쿨TV - 소비쿠폰 똑똑하게 쓰고 싶은 어린이 모여라
- QUIZ - 문제풀이
- PLAY - '소비 쿠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BOOKCLUB - '돈'에 대해 알려주는 따끈따끈한 새책
[교과 연계]
4학년 1학기 사회 3. 경제활동과 지역 간 교류
6학년 1학기 사회 2.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