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쿨TV
뉴스를 읽고 나니 더 많은 궁금증이 생기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다른 아이들은 어떻게 뉴스쿨링하고 있을까? 이 모든 질문의 답이 뉴스쿨TV에 있습니다.
우리 동네 수돗물을 강릉에 보내줄 방법은 없을까?
📌쿨리는 얼마 전 수많은 소방대원들이 소방차에 물을 가득 싣고 강릉으로 달려가고 있다는 뉴스를 봤어. 그래서 곧 강릉의 가뭄이 해결될 거라고 생각했지. 그런데 그 사이 강릉의 물부족 문제는 훨씬 더 심각해졌대. 바다가 바로 옆에 있는데도 강릉의 가뭄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이유는 뭘까? 소방차로 물을 옮기는 것 말고 강릉에서 다른 지역의 물을 좀
수업 중 휴대전화 사용을 법으로 금지해도 될까?_전격 찬반 토론 2탄!
📌학교 수업 시간에 휴대전화를 아예 사용할 수 없게 하는 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쿨리가 다니는 학교는 이미 수업 중에는 가방에서 휴대전화를 꺼낼 수 없게 규칙을 정해놔서 금지하는 법이 생겨도 별로 달라질 건 없을 거 같긴 해. 그런데 한편으론 '이런 것까지 법으로 금지하는 것이 맞나' 하는 생각이 들어. 오늘은 뉴쌤께서 이
빌 게이츠 같은 부자들은 왜 자꾸 기부를 할까?
💡쿨리는 만약 부자가 된다면 매일 돈을 펑펑 쓰며 하고 싶은 것을 다 해볼 거야. 그런데 이번 주 뉴스쿨을 통해 만나본 빌 게이츠 아저씨는 쿨리가 상상하던 부자의 삶과는 전혀 딴판으로 살고 있더라. 늘 검소하게 생활하고 재산의 대부분을 기부해. 그리고 사업으로 큰돈을 버는 데만 몰두하지 않고 못 사는 나라에 백신과 의약품을 보급하는
알쏭달쏭 지도에 숨겨진 비밀들
💡쿨리는 어릴 때부터 지구본을 돌려보며 놀았어. 올림픽 경기를 보다가도 모르는 나라가 나오면 지구본에서 그 나라가 어디에 있는지, 얼마나 큰 나라인지 찾아보았지. 그런데 우리가 흔히 보는 세계지도에선 어떤 나라, 혹은 어떤 대륙의 크기가 실제와 다르게 표현된다니... 정말 생각지도 못한 이야기야. 우리가 알지 못하는 지도의 비밀이 또 있을까? 때마침 뉴쌤께서 지도에 대한
우리의 자랑스러운 태극기는 누가 만들었을까?
💡쿨리는 얼마 전 부모님과 함께 한강 노들섬에 갔다가 이상한 모양의 태극기를 발견했어. 한쪽 귀퉁이는 불에 그을려서 없어졌고 태극문양이나 4괘의 모양도 쿨리가 알던 것과 달랐어. 그런데 심지어 그 태극기가 거리 곳곳의 건물과 가로수에도 걸려 있는 거야. 나중에 알고 보니 그 태극기는 '진관사 태극기'였어. 쿨리의 취재는 그렇게 시작되었지. 아직 쿨리의 기사를 읽어보지
남극과 북극은 어떻게 다를까(feat.초등국어_비교•대조와 열거)
💡뉴스쿨러 친구들! 쿨리가 열심히 취재하여 들려준 아라온호 이야기, 재미있게 잘 읽었어? 우리나라의 과학자들이 우리나라의 기술로 만든 쇄빙연구선을 타고 남극과 북극을 오가며 연구를 한다니! 생각만 해도 정말 멋지지? 아라온호 이야기를 취재한 이후로 쿨리는 도서관으로 달려가서 북극과 남극에 대한 책을 여러권 빌려 읽었어. 덕분에 북극과 남극은 공통점도 많고 차이점도 많다는 사실을 알게
초등 국어로 ⟪해리 포터⟫ 다시 읽기
💡쿨리는 ⟪해리 포터⟫ 영화를 여러 번 봤을 정도로 ⟪해리 포터⟫ 이야기를 좋아해. 그런데 사실 책으로는 아직 다 읽어보지 못했어. 부모님께서 책을 사주시긴 했지만 책이 너무 두꺼운 데다 23권이나 돼서 읽을 엄두가 나지 않더라고. 부모님께서는 곧 ⟪해리 포터⟫ 드라마가 나올 테니 이참에 책을 모두 읽어보라고 하시는데 과연 내가 할 수 있을까?
소비 쿠폰 똑똑하게 쓰고 싶은 어린이 모여라
💡쿨리는 어린이를 포함한 모든 국민이 소비 쿠폰을 받게 된다는 소식을 듣고 뛸 듯이 기뻤어. 쿨리에게도 무려 15만 원이나 되는 공돈이 생기는 거잖아. 그래서 부모님께 그 돈을 받으면 전부터 사고 싶었던 자전거를 살 수 있게 해달라고 말씀드렸지. 그런데 부모님은 돈을 쓸 생각부터 하지 말고 이 돈이 어떤 의미인지 뉴쌤께 배운 다음에
망원경을 통해 해와 달을 관측한, 최초의 사람은?
💡쿨리는 예전에 천문대에서 열린 천문 관측 행사에 가본 적이 있어. 거대한 망원경 안을 들여다보니 벌건 대낮인 데도 그 안에서 별이 반짝이고 있더라. 그때 쿨리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뿐이지 밤이나 낮이나 하늘의 모습은 그대로'라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어. 이번에 베라 루빈 천문대 이야기를 취재하면서 쿨리는 새삼 그때 봤던 망원경들이 생각났어. 그때
햇빛이 우리에게 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쿨리는 늘 빛이 우리에겐 없어선 안 될 존재라고 생각했어. 빛이 있어야 어두울 때도 뭔가를 볼 수 있고 어둠 속에서도 우리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잖아. 그래서 이번에 빛공해라는 것에 대해 알게 되면서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어. 자연에서 살아가는 동물과 식물들에게는 빛이 공해가 된다는 생각은 해보지 못했거든. 빛에 대해 더 많이 알아보고
레고로 초등수학 정복!...길이재기부터 분수까지
💡쿨리에게 가장 오래된 장난감을 꼽는다면 단연 레고 블록을 꼽을 수 있어. 쿨리가 태어난 지 얼마 안 됐을 때부터 쿨리 곁에는 레고가 있었어. 그때는 레고를 던지고 놀거나 단순히 쌓는 정도였지만 이제는 레이싱카도 만들고 호그와트 마법학교도 만들 수 있어. 그런데 얼마 전 쿨리는 레고 덕분에 수학 문제를 척척 풀 수 있게 된
가치도표로 살펴본 툰베리의 삶(feat.초등국어)
💡혹시 그레타 툰베리에 대한 책을 읽어본 친구들이 있어? 쿨리는 그 동안 툰베리에 대해 어렴풋이 알고는 있었는데 이번에 툰베리에 대해 취재를 하면서 오히려 더 많은 궁금증이 생겼어. 툰베리는 어째서 이렇게 환경 운동에 진심인 건지, 학교에 가는 대신 시위를 하고 배를 타고 다니며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알리는 게 힘겹지는 않았는지 툰베리를 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