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로 초등수학 정복!...길이재기부터 분수까지

뉴스쿨
뉴스쿨
- 10분 걸림
답글달기
💡
쿨리에게 가장 오래된 장난감을 꼽는다면 단연 레고 블록을 꼽을 수 있어. 쿨리가 태어난 지 얼마 안 됐을 때부터 쿨리 곁에는 레고가 있었어. 그때는 레고를 던지고 놀거나 단순히 쌓는 정도였지만 이제는 레이싱카도 만들고 호그와트 마법학교도 만들 수 있어. 그런데 얼마 전 쿨리는 레고 덕분에 수학 문제를 척척 풀 수 있게 된 친구의 이야기를 듣게 됐어. 레고는 그냥 장난감인데 수학을 어떻게 레고로 배웠다는 거지? 전혀 상상이 안 가는데, 뉴쌤은 알고 계실까?
  • 쿨리 : 쌤! 제 친구 중에 레고로 수학 공부를 한 친구가 있다고 해요. 레고랑 수학이랑 무슨 상관이 있는 걸까요?
  • 뉴쌤 : 상관이 아주 많이 있지~ 쿨리도 레고를 좋아하니?
  • 쿨리 : 그럼요~ 어릴 때부터 많이 가지고 놀았어요.
  • 뉴쌤 : 그럼 수학은 좋아해?
  • 쿨리 : 예전엔 좋아했는데 지금은 조금 어려워요...ㅜ.ㅜ
  • 뉴쌤 : 그럼 선생님이 여기 있는 레고를 활용해서 쿨리가 수학을 다시 좋아할 수 있게 도와줄게~
  • 쿨리 : 음... 그게 가능할까요?
  • 뉴쌤 : 당연하지~ 먼저 워밍업을 해보자.여기 다섯 종류의 블록이 있어.이건 1×1 블록 이건 1×2블록 이건 2×2블록 이건 2×3, 2×4 블록이야.이 숫자들은 블록의 가로와 세로에 있는 돌기의 수를 의미한다는 걸 알 수 있을 거야. 그러니까 2X4 블록은 가로의 돌기가 2개, 세로의 돌기가 4개라는 걸 알 수 있지.자 맨 처음에는 1×1 블록과 1×2블록만 이용해서 한 마리의 뱀을 완성해볼 거야.돌기 하나가 1cm라고 가정하고 여기 정사각형의 블록판 위에 15cm 길이의 뱀을 만들어볼까? 모양은 어떻게 해도 상관 없어.
  • 쿨리 : 처음에 두 칸 짜리 블록을 7개 놓고 여기에 한 칸 짜리 블록을 이으면 15cm 길이의 뱀! 완성됐어요!
  • 뉴쌤 : 오! 그래. 선생님도 한 마리를 만들어 봤어.
  • 쿨리 : 오~ 선생님은 구불구불하게 만드셨네요. 그런데 이것도 15cm 뱀이 맞아요?
  • 뉴쌤 : 응. 낱개로 된 블록의 길이를 하나하나 더해볼까? 2+1+2+1+2+1+2+1+2+1=15cm 맞지? 이걸 다르게 표현해보면 3이 5개니까 3×5라고 할 수도 있고 1cm가 5개, 2cm가 5개니까 (1×5)+(2×5)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지.
  • 쿨리 : 아... 그럼 수식의 답은 모두 15네요.
  • 뉴쌤 : 그렇지! 이번에는 길이를 재보자. 긴 덧셈식으로 길이를 구해볼 거야. 아까와 마찬가지로 돌기 하나당 1cm로 계산하는 거야. 여기 있는 이 뱀의 길이를 덧셈식으로 표현해보자.
  • 쿨리 : 이건 네 칸이니까 4, 이건 세 칸이니까 3, 이건 두 칸이니까 2, 다시 세 칸이니까 3, 이건 한 칸이니까 1, 이건 각각 네 칸, 세 칸...4+3+2+3+1+4+3, 이걸 모두 더하면 20이에요.
  • 뉴쌤 : 그럼 반대로 이 뱀을 다시 15cm 길이의 뱀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쿨리 : 음... 먼저 3을 빼면 17, 다시 2를 빼면 15... 1×3 블록이랑 1×2 블록을 하나씩 빼면 돼요.
  • 뉴쌤 : 아주 잘했어. 그럼 이번에는 응용 문제를 하나 내볼게. 이번에는 길이가 아니라 무게를 계산해볼 거야. 돌기 하나당 1g이라고 치면 여기 1g, 2g, 4g, 8g의 블록이 있어. 이 블록들을 양팔접시저울에 올려서 분동으로 활용할 거야.
  • 쿨리 : 분동이 뭐예요?
  • 뉴쌤 : 저울로 물체의 무게를 측정할 때 기준이 되는 물체야. 만약에 왼쪽 접시에는 8g 블록을 올려놓고 오른쪽에는 어떤 물건을 올렸는데 저울이 수평을 이룬다면 둘의 무게가 같다는 걸 의미하겠지? 이때 오른쪽 물건의 무게는 8g이라는 걸 알 수 있어.
  • 쿨리 : 아... 그럼 이제 어떤 문제를 풀어야 할까요?
  • 뉴쌤 : 지금부터 4개의 블록으로 몇 가지 무게를 잴 수 있는지 계산해볼 거야.
  • 쿨리 : 앗... 어려운데요. 이건 숙제로 해도 될까요?
  • 뉴쌤 : 그럼~ (영상 끝에서 확인해 주세요!!) 지금부터는 레고 블록으로 곱셈을 해볼 거야. 1×1 블록 안에는 돌기가 몇 개 있지?
  • 쿨리 : 1개요.
  • 뉴쌤 : 그럼 2×2 블록에는?
  • 쿨리 : 하나, 둘, 셋, 넷... 4개가 있어요.
  • 뉴쌤 : 그래 2×2블록 안에는 돌기 2개가 2개씩 있지. 2×4블록에는 돌기 2개가 4개씩 있다는 걸 알 수 있어. 지금부터는 이 블록들의 넓이를 계산해볼 거야. 넓이는 어떤 장소나 물건, 도형 등이 차지하는 크기를 말해. 쿨리는 혹시 사각형의 넓이 구하는 공식을 기억하고 있니?
  • 쿨리 : 네! 가로의 길이 곱하기 세로의 길이요.
  • 뉴쌤 : 그래. 이번에도 돌기 한 개당 1cm 길이라고 가정하고 넓이를 계산해볼 거야. 각각의 블록 아래 넓이를 계산해서 적어볼까?
  • 쿨리 : 1×1=1cm², 2×2=4cm², 3×3=9cm², 4×4=16cm², 5×5=25cm²...아 그런데요, 쌤. 지금 넓이를 계산하다보니까 각각의 정사각형 안에 있는 돌기의 개수랑 넓이가 같네요?
  • 뉴쌤 : 오! 아주 예리한데. 그래 지금 바로 쿨리가 발견한 게 단위 넓이라는 거야. 한 변의 길이가 1cm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1cm²잖아. 이 한 칸의 넓이를 기준이 되는 넓이라고 해서 단위 넓이라고 하는 거야. 그러니까 쿨리 말대로 각각의 사각형의 넓이는 1×1블록의 개수, 돌기의 개수와 같겠지.
  • 쿨리 : 앞으로 도형의 넓이를 구할 때는 단위 넓이를 떠올리면서 계산하면 되겠어요.
  • 뉴쌤 : 그래. 쿨리가 아주 잘 하니까 이제 분수 개념으로 넘어가 보자.
  • 쿨리 : 블록으로 분수를 계산할 수 있다고요?
  • 뉴쌤 : 그럼~ 여기 2×4블록을 1이라고 한다면 2×2블록은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 쿨리 : 음... 절반이니까 2분의 1이요.
  • 뉴쌤 : 아주 잘했어. 그리고 2×1블록은 전체를 4등분한 것 중 하나니까 4분의 1, 1×1은 8칸 중의 한 칸이니까 8분의 1이 되겠지. 이제 이걸 응용해서 좀 더 많은 분수를 표현해보자. 여기 2×3블록을 분수로 표현한다면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 쿨리 : 흠... 4분의 1이 3개 있으니까 4분의 3이라고 할 수도 있고 8분의 1이 6개 있으니까 8분의 6이라고도 할 수 있을 거 같아요.
  • 뉴쌤 : 아주 잘했어. 이번에도 쿨리가 단위분수를 발견했네. 단위분수라는 건 분수 중에서도 분자가 1인 분수를 말해. 쿨리가 한 것처럼 단위분수를 찾아서 단위분수가 몇 개인지 찾아내면 값을 구하기 쉬워. 그리고 쿨리 말대로 적어보면 4분의 3과 8분의 6은 크기가 같다는 걸 알 수 있네. 그리고 각각의 블록을 이렇게 표현하면 분수의 크기도 한 눈에 비교해볼 수 있어.
  • 쿨리 : 단위 분수끼리는 분모 값이 클수록 오히려 크기가 더 작네요.
  • 뉴쌤 : 이번에도 아주 예리한 지적을 했어. 자 이번에는 이 블록들을 조합해서 1을 만들어볼 거야. 주어진 블록 조각에 다른 조각들을 더해서 1을 만들어봐. (여러분도 해보세요.)
  • 쿨리 : 쌤, 완성했어요. 2분의 1에 2분의 1을 더해서 1, 4분의 1에 4분의 3을 더해서 1, 8분의 5에 8분의 3을 더해서 1...
  • 뉴쌤 : 아주 잘했어. 그럼 끝으로 응용 문제를 하나 더 풀면서 마치자. 여기 7개의 블록이 있어. 이중 가장 왼쪽에 있는 2×4블록을 1이라고 할 거야. 각각의 블록의 분수값을 계산해보자. (여러분도 해보세요.)
  • 쿨리 : 쌤, 이렇게 하면 될까요? 7번에서 단위분수를 먼저 찾은 다음에 나머지도 풀었어요.
  • 뉴쌤 : 아주 잘 했어. 이제 이 블록들을 활용해서 문제를 하나 더 풀어볼 거야. 이 블록들을 조합해서 아래 숫자(1, 8분의 5, 8분의 6)를 만들 건데 어떤 블록을 사용했는지 블록 번호를 적고 덧셈식으로 표현해보는 거야. 단 각각의 블록은 하나의 덧셈식에서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어.
  • 쿨리 : 이것도 숙제로 해올게요...
  • 뉴쌤 : 그래! 어서 풀어서 친구들에게도 알려줘~
    (영상을 끝까지 보시면 쿨리의 숙제를 확인하며 정답을 살펴볼 수 있어요!)

✅단위 넓이

✅분동

✅단위 분수

✅변

✅넓이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뉴스쿨TV
답글달기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무료로 읽을 수 있는 콘텐츠를 모두 읽었습니다 😧

구독하시면 더 많은 콘텐츠를 읽을 수 있어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