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Free

100원 동전 속 이순신 장군이 사라진다고?

😱우리가 사용하는 돈에는 역사적인 인물의 얼굴이 담겨 있어. 5만 원권 지폐에는 신사임당이, 5000원권 지폐에는 율곡 이이의 모습이 있지. 그리고 100원 짜리 동전에는 임진왜란 당시 뛰어난 기량을 발휘하며 나라를 위해 싸운 이순신 장군의 초상이 있어. 그런데 어쩌면 이 이순신 장군 초상을 100원 짜리 동전에서 볼 수 없게 될지도 몰라. 이 그림을

Free

[뉴스쿨링] 제68호 뉴스쿨 퀴즈와 정답은?

💡퀴즈 문제가 어렵진 않았니? 쿨리와 함께 차근 차근 살펴보자! 다음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사전이 편찬되기까지 벌어진 사건이야. 일이 일어난 순서대로 나열해봐.🔎ㄱ. 조선어학회가 조선말 큰사전을 만들기 시작했어. ㄴ. 주시경 선생과 제자들이 말모이 작전을 시작했어. ㄷ. 조선말 큰사전 1권이 완성됐어. ㄹ. 일본이 조선말 큰사전의 원고를 압수해버렸어.정답 : ㄴ-ㄱ-ㄹ-ㄷ 👉내용 이해 문제야.

Free

[쿨리가 간다] 피자, 아이스크림, 우유... 다 비싸졌다!

😱얼마 전에 부모님과 평소 자주 가던 식당에 밥을 먹으러 갔어. 그런데 이상하게 평소보다 채소를 덜 주시는 거야. 또 내가 좋아하는 몇몇 반찬은 양이 부쩍 줄었어. 부모님께 "양이 많이 줄어든 것 같다"고 말씀드렸더니 부모님께서는 "물가가 올라서 그런가봐"라고 답하셨어. 나도 느껴질 정도로 물가가 올랐다니... 그런데 물가라면 가격인가? 뭐가 얼마나 올랐길래

Premium

한글을 지켜낸 숨은 주역들

오는 9일은 한글날 577돌이야. 보통 한글날에는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을 많이 떠올리잖아. 그런데 사실 우리 역사 속엔 한글을 지켜낸 숨은 주역들이 있대. 이번 한글날에는 그 주역들을 만나러 가보자.

Premium

[뉴스쿨TV]우리 국어사전에 왜 북한말이 필요할까?

😶책을 읽다가 모르는 단어가 있을 때 사용하는 사전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희생으로 만들어졌다니... 주시경 선생님과 여러 학자들에게 감사를 드려야겠어. 그런데 사전을 찾다 보니 지방의 사투리 뿐 아니라 북한말도 있더라고. 또 이제는 쓰지 않는, 사라진 단어도 있어. 가뜩이나 종이로 된 책을 볼 일이 적어지는데 이렇게 사전을 만들면 괜히 두껍고 무거워지기만

Free

한글날에 꼭 읽어야 할 책 4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꼭 읽어볼 만한 책이 아주 많아. 한글이 얼마나 위대한 문자인지 알려주는 책, 지금까지 한글을 지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한 숨은 주역들을 만나볼 수 있는 책까지 다양한 책들을 꼽아봤어.‌아빠가 들려주는 한글 이야기 ✅김슬옹 지음 | 한솔수북 | 40쪽‌‌ ‌‌✅#한글창제 #세종대왕 #훈민정음 ‌ ‌‌✅추천연령: 6~8세 아빠가 들려주는 한글 이야기 -

Free

[쿨리가 간다] e-스포츠 강국 대한민국, 아시안게임 휩쓸다

😱지금 중국 항저우에서는 아시아의 올림픽, '아시안 게임'이 열리고 있어. 그런데 이 대회에서 가장 인기있는 종목이 뭔지 알아? 축구도, 마라톤도 아니야. 바로 e-스포츠야. e-스포츠는 바로 게임이야. 그래!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하는 그 게임 말이야. 게임이 이번 아시안게임부터 정식 종목이 되었다고 해. 그런데 e-스포츠 종목에서 가장 활약하는 나라가 바로 우리나라야. 한국 e-스포츠

Members

[꼬꼬단] 빵과 시소, 알고 보니 우리말이 아니었다?

🔎64~67호 '이번 주 뉴스쿨'과 9월 한 달간 발행한 '쿨리가 간다' 속 어휘와 관용 표현을 소개하는 꼬꼬단입니다. 태블릿PC나 프린트로 활용할 수 있는 파일을 다운로드하시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꼬꼬단 10월호 핵심 요약] 1. 알쓸뉴단 -희생자는 어떤 사람일까 2. 뉴스쿨 국어사전 -빵과 시소가 우리말이 아니라고? 3. 이야기로 배우는 우리말 숙어 -불을 켠

Free

[쿨리가 간다] 개천절은 어쩌다 10월 3일이 됐을까?

😱오늘, 10월 3일은 개천절이야. 공식적으로 학교에 가지 않는 국경일이기도 하지. 그런데 개천절은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처음 만든 날이라고 우리들 모두 알고 있잖아. 그 날이 10월 3일인 건가? 그렇게 오래 전에도 달력이 있었던 건가? 다 아는 듯하지만 사실은 잘 모르는 개천절을 쿨리가 알아봤어!📌오늘 뉴스의 키워드야! 단군신화 | 건국기념일Q. 개천절은 무슨 뜻이야?   개천절(

Premium

[뉴스쿨링] 제67호 뉴스쿨 퀴즈와 정답은?

💡퀴즈 문제가 어렵진 않았니? 쿨리와 함께 차근 차근 살펴보자! 다음은 가야 역사에 대한 설명이야. 일이 일어난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ㄱ. 옛 가야의 지배계층이 묻힌 고분이 발견됐어. ㄴ. 신라가 가야를 침략해 정복했어. ㄷ. 가야는 철과 철로 만든 물건을 주변 국가에 팔아서 부유해졌어. ㄹ. 김수로와 형제들이 낙동강 인근에 여섯 나라를 세웠어.

Premium

가야 문명, 인류의 문화유산이 되다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철기 문화를 꽃피웠던 가야가 당당하게 세계의 문화유산으로 인정 받았대. 그런데 가야라는 이름이 왜 이렇게 생소하지? 그러고 보니 가야는 교과서에도 잘 다루지 않아. 왜 그런 걸까?

Premium

우리 할머니의 반지도 문화재가 될 수 있을까?

😶이번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된 가야 고분군 이야기를 취재하다보니 불현듯 좋은 생각이 났어. 우리집에는 엄마의 할머니가 물려주신 반지가 하나 있거든. 만든 지 100년도 더 됐을 테니까 정말 오래 됐잖아. 그럼 문화재가 될 만하지 않을까? 박물관에 전시도 하고 말이야. 비슷한 시기에 만든 물건들과 함께 모아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정해달라고 해볼 수 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