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뉴스쿨링] 101호 퀴즈와 정답은?
💡퀴즈 문제가 어렵진 않았니? 쿨리와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자!다음 중 헤드라인의 내용을 잘못 이해한 친구는? [내용 이해] ① 가은: 북한이 남한 쪽으로 쓰레기를 담은 풍선을 날려보냈어. ② 나현: 남한 사람들도 드라마가 담긴 USB와 쌀 등을 실은 풍선을 북한 쪽으로 보냈어. ③ 다인: 북한 정치인들은 풍선에 담긴 드라마 USB를 받아서 재미있게 보고 있어. ④ 라온:
[쿨리가 간다] 우주선이 달의 뒷면으로 향한 이유는?
🌖중국의 달 탐사선이 달에 도착했대. 그런데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달의 앞면이 아니라 달의 뒷면에 도착했다고 해서 온 세상이 떠들썩 해. 달의 뒷면에 도착한 게 왜 특별한 일일까? 앞면과 뒷면은 다르게 생긴 걸까? 그리고 왜 우리 눈에는 달의 앞면만 보이는 걸까? 알아도 알아도 끝이 없는 달의 비밀을 이번에 중국의
가짜 치즈에 속지 마세요!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5월 31일에 발행한 제100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의 100호 뉴스북은 6월 13일까지 2주간 뉴스쿨 회원에게 무료로 공개됩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내가 먹은 떡볶이•피자 위 치즈가 가짜라고?뉴스쿨TV - '좋은 음식'인지 '나쁜 음식'인지 '이것' 보면 알 수 있다?PLAY
좋은 음식이 절로 먹고 싶어지는 책
📖혹시 부모님께 편식하지 말고 뭐든지 골고루 잘 먹어야 한다는 말을 자주 들어? 쿨리는 거의 매일 밥을 먹을 때마다 듣고 있어. ^^;; 사실 생각해보면 우리는 어떤 음식이 몸에 좋은지 이미 잘 알고 있어. 그저 건강한 음식보다는 맛있는 음식을 먹고 싶어서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을 모른 채 할 뿐이지. 그런 우리에게 건강한 식습관을
[뉴스쿨링] 뉴스쿨 100호 퀴즈와 정답은?
💡퀴즈 문제가 어렵진 않았니? 쿨리와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자!헤드라인을 읽고 치즈에 관한 아래 문장의 내용이 맞으면 O, 틀리면 X를 표시해보자. [내용 이해]① 자연 치즈는 우유를 이용해 만들어. ② 모조 치즈에는 치즈가 18% 이상 포함돼야 해. ③ 고급 식물성 기름으로 만든 모조 치즈를 비건 치즈라고 해. ④ 모조 치즈는 포장 용기에 반드시 '모조 치즈'라고
'좋은 음식'인지 '나쁜 음식'인지 '이것' 보면 알 수 있다?
🧀쿨리는 분식점에서 사먹는 치즈의 진실을 알고 난 후 후유증이 생겼어. 치즈를 먹을 때마다 가짜 치즈가 아닌지 의심하게 되더라고. 심지어 엄마가 만들어주신 닭갈비의 치즈 토핑조차 뭔가 느끼하기만 하고 고소한 맛은 나지 않는 느낌이 들더라고. (엄마가 설마 가짜 치즈를 주신 걸까? 아직도 진실은 알아내지 못했어... ^^;;;) 그래서 이렇게 의심만 할 게 아니라 쿨리
[쿨리가 간다] '퓨전 한복' 입지 마!
😎서울 경복궁에 가면 한복을 입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아. 외국인뿐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들도 한복을 입고 다니는 모습이 부러워서 쿨리도 부모님을 졸라 한복을 빌려 입은 적이 있지. 그런데 요즘 그곳에서 빌려주는 한복이 우리나라의 전통 한복과 좀 다르다며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고 해. 우리나라의 전통 한복과 얼마나 다르길래 이런 의견들이 나오는 걸까?
챗GPT 때문에 전기가 사라진다?!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5월 24일에 발행한 제99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척척박사 챗GPT 알고 보니 전기 먹는 하마 뉴스쿨TV - 전기는 어떻게 만들까?PLAY - 디지털 탄소 발자국 줄이기 BOOKCLUB - 번개 파워~ 책으로 전기 파워 충전하기🔌챗GPT라는 아주 똑똑한 인공지능(AI)
번개 파워~ 책으로 전기 파워 충전하기!
📖이번 주 뉴스쿨을 읽고 고민이 깊어지진 않았어? 사실 쿨리는 걱정이 많아졌어. 혹시 우리가 인터넷, 심지어 챗GPT를 많이 쓰면서 이 세상의 전기가 모두 사라지고 모두가 아주 아주 옛날처럼 전자제품도 쓸 수 없고 촛불을 켜고 살아가게 되는 건 아닐까 하고 말이야. 에이 그건 너무 한 것 아니냐고? 그래... 설마 그런 미래가 오지는
[뉴스쿨링] 99호 뉴스쿨 퀴즈와 정답은?
💡퀴즈 문제가 어렵진 않았니? 쿨리와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자!헤드라인을 읽고 아래 문장의 내용이 맞으면 O, 틀리면 X를 표시해보자. [내용 이해]① 우리가 쓰는 네이버, 구글, 유튜브 같은 인터넷 서비스에는 반드시 데이터센터가 필요해. ② 챗GPT에게 질문할 때보다 네이버에서 검색할 때 더 많은 전기를 써. ③ 데이터센터는 '전기 먹는 하마'라는 별명을 갖고 있어. ④ 데이터센터에 있는
전기는 어떻게 만들어요?
🔌쿨리는 예전에 챗GPT와 함께 한참 수다를 떨어본 적이 있는데, 이렇게 많은 전기를 쓰고 있었다는 건 전혀 몰랐어. 더 많은 사람들이 챗GPT를 쓰게 될수록 더 많은 전기를 쓰고, 그게 에너지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거잖아. 그런데 문득 한 가지 의문이 생겼어. 전기를 어떻게 만들길래 전기를 많이 만들수록 환경오염을 일으킨다는 걸까? 전기를
[쿨리가 간다] 말하는 AI가 인간의 목소리를 빼앗았다?
😎인간과 자유롭게 대화하는 새로운 챗GPT, GPT-4o(지피티포오)가 세상에 등장한 지 일주일 만에 논란의 주인공이 되었대. GPT-4o가 미국의 유명한 영화배우의 목소리를 흉내내고 있다는 거야. 목소리를 도둑 맞은 영화배우는 화가 났고, GPT-4o를 만든 오픈AI라는 회사는 일단 서비스를 잠시 멈췄어. 과연 이게 무슨 이야기일까? 쿨리가 알아볼게.🔎오늘 뉴스의 키워드 GPT-4o🤷🏼♂️ 오늘의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