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리가 간다] 대전 최고의 명물이 된 '이곳'

📚
혹시 빵 좋아해? 쿨리는 빵을 무척 좋아해. 그래서 여행을 갈 때마다 꼭 그 지역에서 유명한 빵집을 빼먹지 않고 찾아가곤 하지. 그 중에서도 쿨리가 가장 좋아하는 빵집은 대전에 있는 성심당이라는 빵집이야. 성심당은 한 번도 안 먹어 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먹어본 사람은 없다는 말을 할 정도로 유명한 빵집이지. 그런데 쿨리처럼 성심당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나봐. 글쎄, 성심당이 빵을 팔아서 돈을 엄청나게 많이 벌었다고 해. 오늘은 좀 어려운 경제 뉴스이지만, 쿨리가 쉽고 재미있게 이야기해줄게.
🔎
오늘 뉴스의 키워드
매출
매출
🤷🏼♂️
‘성심당’은 대전에 간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들르는 유명한 빵집입니다. 성심당이 새로운 메뉴를 선보이는 날에는 가게가 문도 열지 않은 이른 새벽부터 빵집 앞에 수많은 사람들이 줄을 서곤 합니다. 심지어 성심당의 빵을 사기 위해 일부러 대전을 찾는 사람도 많습니다.
크리스마스 대목에도 반값 케익...가성비 전략 통했다
서울이나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 위치한 빵집이 이렇게 큰 인기를 누리게 된 이유는 성심당의 '가성비 전략' 덕분입니다. 성심당은 품질 좋은 제품을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정책을 고수합니다. 딸기 케익을 만드는 데 다른 가게보다 2배 이상 많은 딸기를 쓰지만, 케익 가격은 유명 호텔의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크리스마스처럼 많은 사람들이 케익을 사는 대목에도 가격을 높이는 법이 없습니다. 이는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처럼 유명인이 등장하는 광고를 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재료비가 많이 들지만 광고나 마케팅 비용을 대폭 줄여서 가격을 낮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죠.
대전에만 있는 빵집에...하루 1만5000명 '빵지순례'
이러한 영리한 전략 덕분에 성심당을 운영하는 기업인 로쏘는 지난 2024년 193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2020년 488억 원에 불과했던 것이 4년 만에 4배 가까이 늘어난 겁니다. 매출은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팔고 벌어들인 돈입니다. 성심당은 대전에서만 16개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매일 평균 1만 5000명 이상의 고객들이 성심당에 들러 1인당 평균 2만 원 어치의 빵을 구매한다고 해요.
크리스마스 대목에도 반값 케익...가성비 전략 통했다
서울이나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 위치한 빵집이 이렇게 큰 인기를 누리게 된 이유는 성심당의 '가성비 전략' 덕분입니다. 성심당은 품질 좋은 제품을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정책을 고수합니다. 딸기 케익을 만드는 데 다른 가게보다 2배 이상 많은 딸기를 쓰지만, 케익 가격은 유명 호텔의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크리스마스처럼 많은 사람들이 케익을 사는 대목에도 가격을 높이는 법이 없습니다. 이는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처럼 유명인이 등장하는 광고를 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재료비가 많이 들지만 광고나 마케팅 비용을 대폭 줄여서 가격을 낮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죠.
대전에만 있는 빵집에...하루 1만5000명 '빵지순례'
이러한 영리한 전략 덕분에 성심당을 운영하는 기업인 로쏘는 지난 2024년 193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2020년 488억 원에 불과했던 것이 4년 만에 4배 가까이 늘어난 겁니다. 매출은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팔고 벌어들인 돈입니다. 성심당은 대전에서만 16개의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매일 평균 1만 5000명 이상의 고객들이 성심당에 들러 1인당 평균 2만 원 어치의 빵을 구매한다고 해요.

쿨리가 간다X꼬꼬단
뉴스 키워드: 매출
매출은 빵집처럼 물건을 파는 가게나 회사가 벌어 들이는 돈을 말해. 사람들이 물건을 많이 사면 살수록 매출은 늘어나. 예를 들어 성심당에는 하루에 약 1만 5000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찾아와서 맛있는 빵을 사 간다고 해. 한 사람이 평균 2만 원 정도를 쓰면, 하루에 벌어 들이는 돈은 어림잡아 3억 원이 돼. 정말 많지? 이렇게 사람들이 물건을 사고 낸 돈을 모두 더한 것이 바로 '매출'이야. 성심당은 맛있는 빵을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팔아서 많은 사람들이 찾게 되었고, 그래서 매출도 크게 늘었어. 매출이 많다는 건 사람들이 그 가게를 많이 찾아주었다는 뜻이야.
[뉴스 Q&A]
Q. 프랜차이즈 기업이 광고를 하면 왜 빵의 가격이 비싸져?
일반 고객들에게 물건이나 서비스를 파는 기업들은 우리의 눈길이 닿는 모든 곳에 광고를 해. 광고에는 대부분 누구나 한 눈에 알아볼 법한 유명인을 등장시키지. 이렇게 만든 광고는 유튜브나 TV 방송, 심지어 버스와 지하철 광고판에서도 볼 수 있어. 이런 광고를 만들려면 많은 비용이 들어 광고를 만드는 회사에 제작비도 줘야 하고 유명인이 등장한다면 매우 비싼 출연료를 줘야 하지. 이러한 모든 비용은 소비자가 지불하는 제품과 서비스의 가격에 포함돼. 광고를 많이 할수록 소비자는 더 많은 돈을 내야 하지. 성심당처럼 입소문에만 의지해 제품을 알릴 수 있다면 더할나위없이 좋겠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광고를 하지 않으면 제품과 서비스를 알릴 길이 없기 때문에 큰 비용을 들여 광고를 해.
📖
내용 정리하기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사람들이 줄을 서면서까지 성심당의 빵을 사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3. 빵을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이 늘어나면 성심당의 빵 가격은 어떻게 될까?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사람들이 줄을 서면서까지 성심당의 빵을 사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3. 빵을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이 늘어나면 성심당의 빵 가격은 어떻게 될까?

❓QUIZ : 다음 중 이번 주 쿨리가 전한 뉴스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내용 이해]
① 서울에는 성심당이라는 빵집이 없어.
② 성심당은 하루에 평균 3억 원의 돈을 벌고 있어.
③ 성심당은 크리스마스 시즌에만 케익을 비싸게 팔아.
④ 성심당을 방문한 사람들은 평균 2만 원 어치의 빵을 사.
정답 : ③ 성심당은 크리스마스 같은 대목에도 예외 없이 저렴한 가격을 유지한다고 설명했어.
교과연계
6학년 1학기 사회 2. 우리나라의 경제발전
Newsl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