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 평화를 이야기하는 책
📖이번 주 뉴스쿨에서는 70년째 이어지고 있는 남과 북의 갈등을 이야기했어. 한 뿌리인 남한과 북한이 더이상 다투지 않고 모두가 안전하고 평화롭게 살아가려면 통일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도 나눴지. 이번 주 북클럽에서는 통일이 되면 어떤 좋은 점이 있는지 더 자세히 알아보는 책을 소개하려고 해. 물론 통일이 되면 좋지 않은 점도 있어. 오늘 소개하는
남과 북은 왜 다투기만 할까?
🧀북한에서 날아온 오물 풍선이라니… 북한은 어떻게 한민족인 우리에게 이런 짓을 할 수 있는 거지? 그러고 보니 뉴스를 보면 북한은 우리에게 시도때도 없이 미사일을 쏘고, 악담을 퍼부어. 어쩌다 남한과 북한은 이렇게 못 잡아먹어서 안달인 사이가 된 걸까? 뉴쌤께 여쭤봐야겠어.
[뉴스쿨링] 101호 퀴즈와 정답은?
💡퀴즈 문제가 어렵진 않았니? 쿨리와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자!다음 중 헤드라인의 내용을 잘못 이해한 친구는? [내용 이해] ① 가은: 북한이 남한 쪽으로 쓰레기를 담은 풍선을 날려보냈어. ② 나현: 남한 사람들도 드라마가 담긴 USB와 쌀 등을 실은 풍선을 북한 쪽으로 보냈어. ③ 다인: 북한 정치인들은 풍선에 담긴 드라마 USB를 받아서 재미있게 보고 있어. ④ 라온:
가짜 치즈에 속지 마세요!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5월 31일에 발행한 제100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의 100호 뉴스북은 6월 13일까지 2주간 뉴스쿨 회원에게 무료로 공개됩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내가 먹은 떡볶이•피자 위 치즈가 가짜라고?뉴스쿨TV - '좋은 음식'인지 '나쁜 음식'인지 '이것' 보면 알 수 있다?PLAY
좋은 음식이 절로 먹고 싶어지는 책
📖혹시 부모님께 편식하지 말고 뭐든지 골고루 잘 먹어야 한다는 말을 자주 들어? 쿨리는 거의 매일 밥을 먹을 때마다 듣고 있어. ^^;; 사실 생각해보면 우리는 어떤 음식이 몸에 좋은지 이미 잘 알고 있어. 그저 건강한 음식보다는 맛있는 음식을 먹고 싶어서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을 모른 채 할 뿐이지. 그런 우리에게 건강한 식습관을
[뉴스쿨링] 뉴스쿨 100호 퀴즈와 정답은?
💡퀴즈 문제가 어렵진 않았니? 쿨리와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자!헤드라인을 읽고 치즈에 관한 아래 문장의 내용이 맞으면 O, 틀리면 X를 표시해보자. [내용 이해]① 자연 치즈는 우유를 이용해 만들어. ② 모조 치즈에는 치즈가 18% 이상 포함돼야 해. ③ 고급 식물성 기름으로 만든 모조 치즈를 비건 치즈라고 해. ④ 모조 치즈는 포장 용기에 반드시 '모조 치즈'라고
'좋은 음식'인지 '나쁜 음식'인지 '이것' 보면 알 수 있다?
🧀쿨리는 분식점에서 사먹는 치즈의 진실을 알고 난 후 후유증이 생겼어. 치즈를 먹을 때마다 가짜 치즈가 아닌지 의심하게 되더라고. 심지어 엄마가 만들어주신 닭갈비의 치즈 토핑조차 뭔가 느끼하기만 하고 고소한 맛은 나지 않는 느낌이 들더라고. (엄마가 설마 가짜 치즈를 주신 걸까? 아직도 진실은 알아내지 못했어... ^^;;;) 그래서 이렇게 의심만 할 게 아니라 쿨리
챗GPT 때문에 전기가 사라진다?!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5월 24일에 발행한 제99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척척박사 챗GPT 알고 보니 전기 먹는 하마 뉴스쿨TV - 전기는 어떻게 만들까?PLAY - 디지털 탄소 발자국 줄이기 BOOKCLUB - 번개 파워~ 책으로 전기 파워 충전하기🔌챗GPT라는 아주 똑똑한 인공지능(AI)
번개 파워~ 책으로 전기 파워 충전하기!
📖이번 주 뉴스쿨을 읽고 고민이 깊어지진 않았어? 사실 쿨리는 걱정이 많아졌어. 혹시 우리가 인터넷, 심지어 챗GPT를 많이 쓰면서 이 세상의 전기가 모두 사라지고 모두가 아주 아주 옛날처럼 전자제품도 쓸 수 없고 촛불을 켜고 살아가게 되는 건 아닐까 하고 말이야. 에이 그건 너무 한 것 아니냐고? 그래... 설마 그런 미래가 오지는
[뉴스쿨링] 99호 뉴스쿨 퀴즈와 정답은?
💡퀴즈 문제가 어렵진 않았니? 쿨리와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자!헤드라인을 읽고 아래 문장의 내용이 맞으면 O, 틀리면 X를 표시해보자. [내용 이해]① 우리가 쓰는 네이버, 구글, 유튜브 같은 인터넷 서비스에는 반드시 데이터센터가 필요해. ② 챗GPT에게 질문할 때보다 네이버에서 검색할 때 더 많은 전기를 써. ③ 데이터센터는 '전기 먹는 하마'라는 별명을 갖고 있어. ④ 데이터센터에 있는
전기는 어떻게 만들어요?
🔌쿨리는 예전에 챗GPT와 함께 한참 수다를 떨어본 적이 있는데, 이렇게 많은 전기를 쓰고 있었다는 건 전혀 몰랐어. 더 많은 사람들이 챗GPT를 쓰게 될수록 더 많은 전기를 쓰고, 그게 에너지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거잖아. 그런데 문득 한 가지 의문이 생겼어. 전기를 어떻게 만들길래 전기를 많이 만들수록 환경오염을 일으킨다는 걸까? 전기를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날의 광주 이야기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5월 17일에 발행한 제98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로블록스가 한국 게임을 삭제한 이유뉴스쿨TV - 민주화가 뭐예요? PLAY - 그림으로 완성한 오월일기BOOKCLUB - 5·18의 이야기가 담긴 책들🌦️얼마 전 인터넷에서 로블록스가 한국 게임 하나를 삭제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어. 나도 로블록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