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쿨

뉴스쿨

Free

한강 작가는 어린시절 어떤 책을 읽었을까?

📖어떤 사람에 대해 알고 싶다면 그 사람의 책장을 살펴보라는 말이 있어. 책은 누군가를 설명하는 결정적인 힌트야. 그 사람이 읽는 책을 통해 그 사람의 생각과 삶을 모두 짐작할 수 있거든. 이번 주 뉴스쿨에서는 한강 작가가 평소 즐겨 읽었다는 책을 소개하려고 해. 어린이들이 읽기엔 다소 어려운 책이 많아서 그림책과 동화책 위주로 준비했어.

Premium

전쟁은 이제 그만, 평화를 원해요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10월 11일에 발행한 제118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후세인 함자 아저씨가 위험천만한 레바논에 홀로 남은 이유뉴스쿨TV - 우리가 몰랐던 중동 이야기PLAY - 슬기로운 중동 탐구 생활BOOKCLUB - 아라비안 나이트로 시작하는 중동 탐험😔요즘 부모님이 보는 뉴스를 보니 온통 전쟁

Premium

[뉴스쿨링] 118호 뉴스쿨 퀴즈와 정답은?

💡퀴즈 문제가 어렵진 않았니? 쿨리와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자! 1. 다음은 헤드라인(HEADLINE)에 등장한 후세인 함자 씨에 대한 설명이야. 기사를 읽고 알 수 없는 내용은? [내용 이해] ① 후세인 함자 씨는 전쟁이 한창인 레바논에 살고 있어. ② 후세인 함자 씨는 위험한 상황에서도 힘 없고 약한 동물들을 보호하고 있어. ③ 후세인 함자 씨는 아주

Premium

우리가 몰랐던 중동 이야기 #메소포타미아 #도시 #석유

💡요즘 뉴스를 보면 중동 관련 뉴스가 많이 나와. 여러 나라가 서로 공격을 주고 받고, 아무 죄도 없는 아이들이 수도 없이 목숨을 잃었다는 소식도 있었어. 평소에도 중동이라는 곳은 낯설기만 했는데, 이런 뉴스를 보다 보면 무시무시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해. 도대체 중동은 어떤 곳일까? 뉴쌤께 여쭤보자.

Free

[북클럽] 아라비안 나이트로 시작하는 중동 탐험

📖중동 지역의 분쟁과 전쟁은 뉴스쿨에서도 여러 번 다룬 적이 있어. 이곳의 비극은 정말 슬픈 일이지만 지금은 슬퍼하고만 있을 때가 아니야. 중동의 갈등과 분쟁은 중동만의 문제로 끝나지 않아. 이미 중동 전쟁의 위협이 주변 지역까지 뻗치고 있어. 또 중동이 평화를 되찾지 못하고 전쟁을 이어간다면 수많은 난민이 발생할 테고 이 난민들이 새로운 정착지를

Free

[북클럽] 한글날을 맞아 읽어볼 책

📖늘 쓰는 우리 말인데도 국어는 쉽지 않아. 뜻을 알 수 없는 낱말도 많고 맞춤법을 지키기도 쉽지 않지. 그런데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심지어 인공지능(AI)이 대신 글을 써주는 시대가 되어도 우리는 국어를 제대로 알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해. 우리의 생각을 표현하는 말과 글은 그 누구도 대신해 줄 수 없거든. 오늘은

Premium

나만의 낱말 사전 만들기_초등 국어

💡조선어사전에 실려 있는 바눌코두부살, 쥐코졸임 같은 단어들을 살펴보면서 쿨리는 이런 생각이 들었어. '지금은 우리가 흔하게 쓰는 말이어도 수십년이 흐른 뒤에는 사라질 수도 있겠구나.' 하고 말이야. 그래서 쿨리는 앞으로 쿨리와 주변 사람들이 많이 쓰는 말, 책이나 영화, 너튜브 영상에서 본 단어들을 모아서 나만의 사전을 만들어보기로 했어. 이름 하여 '쿨리의 2024

Premium

국어 사전이 살아있다?!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10월 4일에 발행한 제117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국어사전의 변신은 끝이 없다 뉴스쿨TV - 나만의 낱말 사전 만들기PLAY - 10년 후 사전에는BOOKCLUB - 재미있고 신기한 우리말💸뉴스쿨러 친구들은 국어 사전을 잘 사용해? 책을 읽다가 모르는 낱말이 있으면 국어 사전을

Premium

[뉴스쿨링] 117호 뉴스쿨 퀴즈와 정답은?

💡퀴즈 문제가 어렵진 않았니? 쿨리와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자! 1. 헤드라인(HEADLINE)을 읽고 우리나라의 '조선어 사전'에 대해 친구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어. 내용을 잘못 이해한 친구는?[내용 이해] ① 은지 : 조선어 사전은 1900년대 초에 만들어졌어. ② 영지 : 조선어 사전을 살펴 보면 1900년대 초 조선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짐작할 수 있어. ③ 미현 : 지금 우리가

Premium

고양이•개 키우려면 세금을 내라?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9월 27일에 발행한 제116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강아지 키우니까 세금 내! 뜨거운 감자 '반려동물 보유세' 뉴스쿨TV - 국민이라면 모두가 내는 '이것'PLAY - 반려동물 보유세, 어떻게 생각하십니까?BOOKCLUB - 세상의 별별 세금💸우리는 아직 어리지만 세금을 내고 있다는 사실

Premium

[뉴스쿨링] 116호 뉴스쿨 퀴즈와 정답은?

💡퀴즈 문제가 어렵진 않았니? 쿨리와 함께 차근차근 살펴보자! 1. 반려동물 보유세에 대해 여러 친구들이 의견을 말하고 있어. 보기 중에서 '찬혁'과 다른 의견을 가진 친구 한 명은 누구일까?  [내용이해] 찬혁: 길거리에 버려진 동물의 배설물을 치우는 일에는 많은 돈이 들어. 반려동물 보유세가 도입되면 이 일을 하는 사람을 더 많이 고용할 수 있어.

Premium

국민이라면 모두가 내는 '이것'

💡쿨리의 이모에게는 꽤 오랜 기간 함께 산 강아지 '도토리'가 있어. 도토리는 이모에게 가족이나 다름이 없지. 그런데 갑자기 나라에서 '도토리를 계속 키우고 싶으면 돈을 내라'고 한다면 이모의 기분이 어떨까? 이모에게 물어보니 '안 그래도 그 일로 화가 나 있다'고 하더라고. 정부가 거두려고 하는 이 돈은 '반려동물 보유세', 즉 세금이라고 해. 세금이 뭐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