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하얼빈에서 생긴 일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5년 1월 17일에 발행한 제132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 HEADLINE - '코레아 우라' 우리가 몰랐던 안중근 의사
- 뉴스쿨TV - 역사 영화는 사실만 담아야 한다?!_토론 배우기
- PLAY -역사 영화 속에 거짓말이 있다고?!
- BOOKCLUB - 안중근 의사를 더 많이 알고 싶다면
'코레아 우라'
우리가 몰랐던 안중근 의사
1908년 함경북도 신아산. 의병대 참모중장 안중근과 의병들은 일본과 치열한 전투 끝에 승리를 거둡니다. 그런데 안중근은 이 과정에서 잡아들인 여러 명의 일본군을 풀어줍니다. 전쟁 중 붙잡힌 포로는 만국공법(국제법)에 따라 다뤄야 한다는 원칙을 지키기 위해서였죠. "무기를 빼앗기면 돌아가서 큰 곤욕을 치를 것"이라는 일본군들의 애원에 무기까지 돌려줍니다. 함께 싸운 동료들은 안중근을 의심하기 시작합니다. 애써 잡은 적군을 죄다 풀어줬으니 부하들의 반발을 사는 건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몇몇은 안중근의 은혜를 외면하고, 다시 의병을 공격하기도 합니다.
지난달 개봉한 영화 '하얼빈'의 첫 장면입니다. 우리에게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독립투사로 잘 알려진 안중근은 영화, 뮤지컬, 연극 등 수많은 콘텐츠의 단골 소재가 됐습니다. 그의 영웅적인 일대기가 우리에게 큰 감동을 주기 때문인데요. 영화 '하얼빈' 속에는 특히 그동안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평화주의자' 안중근의 이야기가 흥미진진하게 담겼어요.
의병이 된 안중근, 혈서로 결의를 다지다
안중근은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습니다. 태어날 때 안중근의 등에 검은 점이 7개 있어서 북두칠성의 기운으로 태어났다는 의미로 '응칠'이라고 불렸습니다. 1905년 일본이 강제로 외교권을 빼앗은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청년 안중근은 독립운동에 뛰어들었습니다. 처음에는 자신의 재산을 털어 학교를 설립하고 교육 운동을 했지만 고종황제가 일본에 의해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을 보며 무력 투쟁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1907년 일본이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한 이후 연해주로 건너가 의병이 되었어요. 의병은 조선 이후부터 일제 강점기 이전까지 일본의 침략에 맞서 자발적으로 싸운 백성들을 말합니다.
하지만 의병 활동은 쉽지 않았습니다. 한 부대를 책임지는 참모총장이 된 그는 조선을 침략한 일본의 지도층과 평범한 일본 사람들을 다르게 대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일본군을 함부로 죽여서는 안 되며 국제법에 따라 법의 심판을 받게 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나라가 독립을 되찾고 다시 다른 나라에 침략 당하지 않으려면 세계가 평화를 유지하는 게 중요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나라가 국제법을 지켜야 한다고 믿은 거죠. 하지만 다른 의병들까지 모두 이러한 생각에 동의한 건 아닙니다. 결국 1909년 안중근은 뜻을 같이 하는 동지들과 왼쪽 손의 넷째 손가락 한 마디를 끊고, 혈서로 결의를 다집니다.
평화주의자 안중근, 평화를 깨는 주범을 없애다
이 무렵 이토 히로부미가 러시아의 하얼빈에 온다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안중근과 동료들은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 사살 계획을 세웁니다. 사실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를 죽일 때까지 무척 괴로워했다고 해요. 안중근은 천주교 신도였는데요. 그를 죽이는 건 '살인하지 말라'는 천주교 교리에 어긋나는 일이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토 히로부미는 일제가 보낸 첫 조선통감으로 조선 침략의 원흉이었습니다. 안중근은 그가 사라져야 동양의 평화를 지킬 수 있다고 믿고 거사에 나섭니다. 동양의 평화를 위해서는 한중일 3국이 서로 존중하며 협력해야 하는데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이 강하고 부유해지는 것만 중요하게 여기며 주변 국가를 침략하는 데 앞장섰기 때문이죠.
'코레아 우라'
결국 안중근은 하얼빈 역에서 이렇게 외치며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고,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 받았어요. 그는 목숨을 구걸하는 대신 1910년 3월 26일 처형될 때까지 옥중에서 자신의 평화에 대한 생각을 담은 '동양평화론'을 집필합니다. 그는 동생들에게 독립이 되면 자신의 뼈를 고국으로 옮겨달라는 유언을 남겼는데요. 일본은 끝까지 안중근의 유해를 가족들에게 돌려주지 않았고, 그는 아직도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1. 오늘 이야기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오늘 기사를 통해 안중근 의사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
3. 안중근이 그토록 평화를 중요하게 여겼던 이유는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