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 풍경이 달라졌어요 | 제168호
한가위 풍경이 달라졌어요 | 제168호
디지털북

한가위 풍경이 달라졌어요 | 제168호

🤓
뉴스쿨러 친구들은 설날과 추석 중 언제를 더 좋아해? 쿨리는 세뱃돈을 받는 설날도 무척 좋아하지만 맛있는 음식을 많이 먹을 수 있는 추석도 무척 좋아해. 이번 추석은 평소보다 오래 쉴 수 있어서 더 좋아. 친구들은 이번 추석 연휴를 어떻게 보낼 계획이야? 아마 해외여행을 떠나는 친구들도 많겠지? 그런데 요즘 우리가 추석을 보내는 방식이 과거와는 아주 다르다고 해. 뭐가 달라진 걸까? 그리고 왜 달라진 걸까? 쿨리의 이야기를 들어봐.

245만 명 몰리며 북적이는 공항

한가위 풍경이 달라졌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추석이 되면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여 송편을 빚고 차례상을 차리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온 가족이 모여 송편을 반달 모양으로 빚으며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고, 둥근 보름달을 바라보며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빌었죠. 하지만 요즘은 이러한 모습을 찾아보기 쉽지 않습니다. 가족의 구조가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바뀌고, 명절에 대한 인식도 크게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귀성길 정체 뚫고 가족 만나던 추석, 해외여행 떠날 절호의 찬스로

올해 추석 연휴 동안 인천공항에는 245만 명의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7일 이상 이어지는 긴 휴일 덕분에 일찌감치 해외여행을 계획한 이들이 몰리는 것이지요. 특히 2014년부터 정부는 명절 연휴가 공휴일과 겹치면 대체 공휴일을 지정해 국민들에게 충분히 쉴 시간을 주고 잇는데요. 올해는 추석 연휴와 한글날을 잇는 8일이 대체 공휴일이 되면서 장기간 여행을 다녀올 수 있을 만큼 연휴가 길어졌습니다.

해외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올해 귀성길과 귀경길은 과거보다 덜 막힐 것으로 예상됩니다. 과거에는 서울 등 수도권에서 지방의 고향을 찾는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 고속도로가 꽉 막히는 ‘민족 대이동’이 뉴스의 단골 장면이었지요. 전체 귀성길에 오르는 사람의 수가 2000만 명을 넘어 전체 인구의 절반에 달했습니다. 그러니 서울에서 대전까지 가는 데 10시간이 꼬박 걸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이런 모습이 많이 줄었습니다. 핵가족화가 확산되고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더보기

한가위 풍경이 달라졌어요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5년 10월 3일에 발행한 제168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다음 주(10월 10일)는 추석 연휴로 휴간합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북적이는 공항...한가위 풍경이 달라졌어요!뉴스쿨TV - 명절마다 반복되는 민족 대이동은 언제부터 반복됐을까?PLAY - 나의 소중한 추석 일기장BOOKCLUB - 알면 알수록 더
명절마다 반복되는 민족 대이동은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쿨리는 얼마 전 엄마의 어릴 적 사진 한 장을 보았어. 한복을 입고 기차 앞에서 찍은 사진이었어. 엄마에게 무슨 사진이냐고 여쭤봤더니 추석을 맞아 시골 할머니, 할아버지 댁에 가는 길에 찍은 사진이래. 이때는 서울역에서 밤새워 기다리며 열차표를 사야 했는데 다행히 표를 구할 수 있어서 큰 어려움 없이 시골에 갈 수 있었대. 이때를
[북클럽] 알면 알수록 더 재미있는 명절 세시풍속 이야기
📖이번 주에는 추석의 세시 풍속에 대해 알아봤어. 우리나라에는 추석 말고도 더 많은 명절이 있어. 그리고 각 명절을 즐기는 방법도 가지각색이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명절이 있지. 이번 주 북클럽에서는 우리나라의 명절과 세계 곳곳의 명절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책을 소개할게!엄마 반, 나도 반 추석 반보기✅임정자 지음 | 웅진주니어 | 36쪽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1. HEADLINE - 북적이는 공항...한가위 풍경이 달라졌어요!
  2. 뉴스쿨TV -  명절마다 반복되는 민족 대이동은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3. QUIZ
  4. PLAY - 나의 소중한 추석 일기장
  5. BOOKCLUB - 알면 알수록 더 재미있는 명절 세시풍속 이야기

[교과 연계]

3학년 1학기 사회 1. 우리가 사는 곳
3학년 1학기 사회 2. 일상에서 만나는 과거
3학년 2학기 사회 1. 사회 변화와 다양한 문화
3학년 2학기 사회 2. 옛날과 오늘날의 생활 모습
5학년 2학기 사회 1.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5학년 2학기 사회 2.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