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북
대한민국의 쇄빙선 '아라온'이 나가신다! | 제158호

🤓
'과학자'라고 하면 다들 실험실에서 무언가를 몰두하며 연구하는 사람들을 떠올릴 거야. 하지만 세상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과학자들이 있어. 그리고 우리가 잘 아는 북극에도 과학자들이 있다고 해. 북극에서 어떤 연구를 하냐고? 북극에는 연구할 것이 너무 많아. 북극의 변화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큰 영향을 미치니까. 그런데 과학자들은 북극에 어떻게 갈까? 우리나라에는 '아라온'이라고 불리는 자랑스러운 쇄빙선이 있어. 이 쇄빙선을 타고 북극에서 연구를 해. 쇄빙선 아라온은 극지의 실험실인 셈이지. 신기하지? 오늘은 쿨리가 쇄빙선 '아라온'을 소개할게.
바다 위 얼음을 쾅쾅
16번째 북극 탐험 떠난 '아라온'
무게 7507톤(t)의 육중한 배가 전진하자, 북극 바다를 뒤덮은 얼음이 '쩌억' 소리를 내며 지그재그로 갈라집니다. 길이만 111m에 이르는 거대한 이 배는 아라온호. 대한민국에 단 한 척뿐인 쇄빙연구선입니다. 쇄빙연구선은 얼어붙은 바다를 가르며 전진할 수 있는, 특별한 기능을 갖춘 선박입니다. 아라온호는 1m 두께의 해빙 위에서도 시속 약 5.6km(3노트)로 항해할 수 있습니다. 또 한 번 연료를 채우면 최대 1만7000해리(약 3만1484km)를 이동할 수 있는데요. 이는 지구를 한 바퀴 돌 수 있는 거리입니다.

영하 40도 혹한 속 얼음 가르며 전진...극지의 실험실 아라온호
지난 7월 3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16번째 북극해 탐사를 떠났습니다. 아라온호는 40여 명의 한국 과학자들을 태우고 베링해, 동시베리아해 등 북극의 주요 해역을 탐사할 예정입니다. 북극 바다는 연중 대부분 두꺼운 해빙(바다 얼음)으로 뒤덮여 있습니다. 일반 배는 이 얼음을 뚫고 지나갈 수 없기 때문에, 단단한 얼음을 깨며 전진더보기
대한민국 유일의 쇄빙선 아라온호가 나가신다!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5년 7월 25일에 발행한 제158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바다 위 얼음을 쾅쾅, 16번째 탐험 떠나는 쇄빙선 아라온뉴스쿨TV - 남극과 북극은 어떻게 다를까?(feat.초등국어_비교•대조와 열거) PLAY - 북극과 남극의 공통점과 차이점 BOOKCLUB - 책으로 탐험하는 북극 🤓‘과학자’라고

남극과 북극은 어떻게 다를까(feat.초등국어_비교•대조와 열거)
💡뉴스쿨러 친구들! 쿨리가 열심히 취재하여 들려준 아라온호 이야기, 재미있게 잘 읽었어? 우리나라의 과학자들이 우리나라의 기술로 만든 쇄빙연구선을 타고 남극과 북극을 오가며 연구를 한다니! 생각만 해도 정말 멋지지? 아라온호 이야기를 취재한 이후로 쿨리는 도서관으로 달려가서 북극과 남극에 대한 책을 여러권 빌려 읽었어. 덕분에 북극과 남극은 공통점도 많고 차이점도 많다는 사실을 알게

[북클럽] 책으로 탐험하는 북극
📖이번 주 뉴스쿨 북클럽에서는 북극에 대한 책을 소개하려고 해. 북극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들었지만 사실 북극에 어떤 생명체들이 살고 있는지, 그리고 북극을 보호하는 게 왜 중요한지 자세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아. 북극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장소야. 그리고 북극 생태계를 보호하는 일은 우리의 지구를 보호하는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 HEADLINE - 바다 위 얼음을 쾅쾅, 16번째 탐험 떠나는 쇄빙선 아라온
- 뉴스쿨TV - 남극과 북극은 어떻게 다를까?(feat.초등국어_비교•대조•열거)
- QUIZ
- PLAY - 북극과 남극의 공통점과 차이점
- BOOKCLUB - 책으로 탐험하는 북극
[교과 연계]
4학년 1학기 과학 2. 물의 상태 변화
5학년 1학기 국어 3. 글을 요약해요
6학년 2학기 사회 1. 세계 여러 나라의 자연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