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꼬단] 설겆이? 설거지!
✅설거지, 사라진 표준어를 찾아서
설겆+이->설겆이->설거지
음식을 다 먹고 빈 그릇을 깨끗하게 씻는 일을 설거지라고 해. 그런데 어른들 중에는 설거지를 간혹 이 단어를 '설겆이'라고 쓰는 사람들도 많아. 왜 그럴까? 그 이유를 찾으려면 아주 오래 전으로 거슬러 가야 해.
사실 예전에는 '설겆이'가 설거지의 표준어였어. 설겆이라는 단어의 유래를 알아보자. 설겆이는 그릇을 닦는 행위를 일컫는 동사 '설겆다'에서 시작해. 설겆이는 [설겆+이]로 이뤄진 단어로 설겆는 일을 의미해.
하지만 '설겆이'라고 쓰더라도 말할 때는 [설거지]가 더 편했고, 어느 순간 누구나 설거지라고 말하기 시작했지. 우리나라 표준어 규정에서는 이렇게 쓰이지 않게 된 단어를 '고어'로 처리하고 현재 더 널리 쓰이는 말을 표준어로 바꾸도록 하고 있어. 그래서 설겆이는 사라지고 설거지만 남게 된 거지. 어른들이 '설겆이'라는 단어를 쓰는 건 아주 오랫동안 그 단어가 표준어였기 때문일 거야.
✅ 헷갈려도 되고, 헛갈려도 돼
또 어떤 어른들은 헷갈린다는 말 대신 '헛갈린다'라는 말을 쓰기도 해. 사투리 같다고? 그럼 헷갈리다의 사전적 뜻을 보자.
헷갈리다: 1.정신이 혼란스럽다. 2.여러가지가 뒤섞여 갈피를 잡지 못한다
그런데 사전을 계속 읽어보면 '헷갈리다'의 유의어(비슷한 말) 중 하나로 '헛갈리다'를 제시해. 그 이유는 헷갈리다와 헛갈리다가 '복수 표준어' 이기 때문이야. 표준어가 꼭 하나여야 한다는 법은 없어. 둘 이상의 단어를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는 일도 있어. 표준어를 정하는 이유는 우리가 소통을 더 잘 하기 위해서잖아? 그러니까 두 단어가 모두 널리 사용된다면 굳이 다른 하나를 없앨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복수 표준어를 정한 거야. '헷갈리다'와 '헛갈리다'는 모두 사용 가능하단 이야기지! 그럼 또 어떤 복수 표준어가 있을까? 아래 예시들을 살펴보고 사전에서 그 뜻도 찾아봐.
'터뜨리다' 와 '터트리다'
'예쁘다'와 '이쁘다'
'가엾다'와 '가엽다'
'만날' 과 '맨날'
'쇠고기'와 '소고기'
✅ 자를 땐 '베'고 , 물들 땐 '배'고
"종이봉투를 만들기 위해서는 나무를 많이 베어야 했죠"
무언가를 자르거나 끊는 행위를 할 때는 '베다'라고 말해. 아래 예시를 볼끼?
도끼로 나무를 베다. / 이로 사과를 베어 먹다. / 칼에 손을 베었다.
그런데 맞춤법이 헷갈려. 가끔 '배다'로 쓰고 싶을 때가 있어. 그런데 그러면 안돼. '베다'와 '배다'는 완전히 다른 뜻이거든. '배다'는 '스며들다, 익숙해지다'라는 뜻이야. 예시를 볼래?
옷에 땀이 배다. / 버릇이 몸에 배다
베다와 배다의 사용법을 잘 이해했니? 아래 괄호에 '베'와 '배' 중 맞는 표현을 골라보자.
그림을 그리다 물감이 옷에(배 / 베)었습니다.
가위에 손을 (배 / 베)어 피가 났습니다.
탈춤에는 우리 민족의 정서가 (배/ 베)어 있습니다.
✅ 일회용품 vs 다회용품
"정부는 24일부터 일회용품 사용을 제한합니다"
일회용품은 한 번만 쓰고 버리는 물건이야. '일회'가 바로 한 번이란 뜻이지. 그런데 요즘 신문에는 '다회용품'이라는 말도 많이 등장해, 다회용품은 일회용품과 달리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물건이란 뜻이야. 위의 빈 칸에 일회와 다회의 한자 표현을 보면서 의미를 생각해보자.
✅ 제한하다
일정한 수준 이상, 혹은 이하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을 '제한'이라고 해. 어떤 행동을 못하도록 막을 때도 제한한다고 하지. 아래 단어에서 ‘제한’은 어떤 뜻으로 쓰였을까? 설명해보자.
나이제한:
속도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