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리가 간다] 2025년 첫 번째 해는 언제 뜰까?
😀
올해가 일주일 밖에 남지 않았어. 올해의 마지막 해를 보며 한 해를 반성하고ㅡ 새해 첫날에는 떠오르는 해를 보면서 한 해가 잘 풀리길 기도하고 싶은데... 어디에서 일몰과 일출을 보면 좋을까? 쿨리가 올해의 마지막날인 12월 31일의 지역별 일몰 시간, 그리고 내년 1월 1일 지역별 일출 시간을 알려 줄게.
🔎
오늘 뉴스의 키워드
해돋이와 해넘이
해돋이와 해넘이
🍲
매해 1월 1일 새벽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떠오르는 해를 보기 위해 해돋이 명소를 찾습니다. 지구는 하루에 한 번씩 자전하기 때문에 아침이 되기 전 지평선 혹은 수평선이 보이는 곳에서 기다리면 해가 점점 위로 솟아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일출 혹은 해돋이라고 하죠. 반대로 저녁 무렵 해가 지면서 점점 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이를 일몰 혹은 해넘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2024년의 마지막 일몰과 2025년의 첫 번째 일출은 언제일까요?
올해 마지막 해넘이는 신안 가거도
2024년 12월 31일에는 오후 5시 5분 독도를 시작으로 서서히 마지막 일몰이 시작됩니다. 이날 우리나라에서 가장 늦게 해가 지는 곳은 신안 가거도입니다. 가거도에서는 오후 5시 40분까지 지는 해를 볼 수 있다고 해요. 육지에서는 전라남도 진도의 세방낙조에서 오후 5시 35분까지 일몰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새해 첫 해돋이는 독도에서 7시 26분에
2025년 을사년 새해 첫 해를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곳은 우리나라 동쪽 끝 작은 섬 독도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2025년 1월 1일 오전 7시 26분 독도에서 새해 첫 해를 볼 수 있다고 해요. 섬이 아닌 내륙지방에서는 울산광역시 간절곶과 방어진에서 오전 7시 31분 첫 일출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는 오전 7시 47분에 첫 해가 뜹니다. 부산은 오전 7시 32분에 첫 해를 볼 수 있습니다.
올해 마지막 해넘이는 신안 가거도
2024년 12월 31일에는 오후 5시 5분 독도를 시작으로 서서히 마지막 일몰이 시작됩니다. 이날 우리나라에서 가장 늦게 해가 지는 곳은 신안 가거도입니다. 가거도에서는 오후 5시 40분까지 지는 해를 볼 수 있다고 해요. 육지에서는 전라남도 진도의 세방낙조에서 오후 5시 35분까지 일몰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새해 첫 해돋이는 독도에서 7시 26분에
2025년 을사년 새해 첫 해를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곳은 우리나라 동쪽 끝 작은 섬 독도입니다.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2025년 1월 1일 오전 7시 26분 독도에서 새해 첫 해를 볼 수 있다고 해요. 섬이 아닌 내륙지방에서는 울산광역시 간절곶과 방어진에서 오전 7시 31분 첫 일출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는 오전 7시 47분에 첫 해가 뜹니다. 부산은 오전 7시 32분에 첫 해를 볼 수 있습니다.
쿨리가 간다X꼬꼬단
뉴스 키워드: 해돋이와 해넘이
일출과 일몰은 각각 해가 뜨고 지는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야. 해돋이와 해넘이는 일출과 일몰을 표현하는 순수한 우리말이야.
시계가 없던 시절 우리 조상들은 해의 모습을 보며 하루 중 어느 때인지 짐작할 수 있었어. 아침 일찍 일어나 해가 뜨기를 기다려 본 적이 있어? 그렇다면 이른 새벽 동이 트는 것을 봤을 거야. 이를 '여명' 혹은 '갓밝이'라고 말해. 갓밝이가 지나면 해돋이가 시작돼. 해가 막 떠오르기 시작한 거야. 하루가 저물기 시작하는 때는 해거름이야. 해가 막 서쪽으로 지기 시작하는 오후 4~5시 무렵을 말하지. 해거름이 지나고 나면 해넘이가 시작돼. 해넘이는 해가 수평선 혹은 지평선 너머로 사라지기 시작할 무렵을 뜻해. 해넘이가 시작되고 나면 날이 어둑어둑해져. 이 무렵을 '땅거미가 진다'고 말해. 해가 지평선 너머로 사라졌지만 아직 완전이 시꺼멓게 어두워지지는 않은 상태야. 땅거미가 지고 나면 어둠이 찾아오고, 우리는 모두 깊은 잠에 빠져. 이렇게 하루가 끝나지.
[뉴스 Q&A]
Q. 일출과 일몰 시간이 지역마다 다른 이유는?
일출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의 위도, 경도, 고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지구는 23.5도 기울어진 채로 하루에 한 바퀴 자전하고, 태양 주위를 일년에 한 바퀴 공전해. 여름에는 낮이 길고 겨울에는 밤이 길어지는 현상도 모두 이때문이야.
일출은 고도가 높을수록, 위도가 적도에 가까울수록 빨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발표한 일출 시각은 해발고도 0m를 기준으로 계산된 수치야. 고도가 높을수록 일출 시각이 빨라져. 그래서 서울 같은 내륙지방에서는 1월 1일 새벽 가까운 산에 오른다면 누구보다 빨리 일출을 볼 수 있어.
📖
생각 더하기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가장 늦게까지 일몰을 볼 수 있는 지역과, 가장 먼저 일출이 시작되는 지역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3.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일출을 보기 가장 좋은 장소는 어디일지 찾아봐.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가장 늦게까지 일몰을 볼 수 있는 지역과, 가장 먼저 일출이 시작되는 지역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3.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일출을 보기 가장 좋은 장소는 어디일지 찾아봐.
❓ 오늘 쿨리가 쓴 기사는 다음 중 누구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될까? [글의 의도]
① 하나: 가족들과 새해를 맞아 해외 여행을 하려고 계획을 세우고 있어.
② 안나: 가족들과 함께 2025년 첫 일출을 보기 위해 여행을 준비하고 있어.
③ 민아: 1월 1일에 스키장에 가려고 하는데 눈이 얼마나 올지 궁금해.
④ 윤아: 12월 31일에 할머니 댁에 갈 예정인데, 차가 막힐까봐 걱정이야.
정답 : ②
교과연계
6학년 1학기 과학 2. 지구와 달의 운동
함께 읽어볼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