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리가 간다] 2300만 명의 개인정보가 위험하다
📚
뉴스쿨러 친구들 중엔 스마트폰을 가진 친구들도 꽤 있지? 다들 어떤 통신사를 이용해? 얼마 전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통신사인 SK텔레콤이 해커들의 공격을 받았어. 그래서 SK텔레콤 가입자들은 혹시 자신의 개인정보가 범죄집단에 노출된 건 아닌지 무척 걱정하고 있어. 혹시 우리도 개인정보 유출로 큰 피해를 입게 되는 걸까? 쿨리가 알려줄게.
🔎
오늘 뉴스의 키워드
해킹
해킹
🤷🏼♂️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통신사인 SK텔레콤이 해커의 공격을 받으면서 고객 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고를 두고 역대 최악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라고 지적하는데요. 이는 약 2300만 명에 달하는 가입자들의 유심(USIM) 관련 정보가 도난을 당했기 때문입니다.
가입자인 척 회원가입•결제할 수도...스마트폰 복제 위험도
유심은 휴대전화 안에 들어 있는 작은 칩으로, 그 안에는 가입자가 본인임을 인증하거나 온라인에서 무언가를 살 때 꼭 필요한 개인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해커가 가입자들의 유심 속 정보로 특정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거나 통장을 만들고 결제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게다가 가입자의 유심 정보로 유심을 복제한다면 복제폰을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되면 범죄 집단이 가입자의 문자 메시지나 전화 등을 가로채는 '심 스와핑' 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휴대전화 복제 막으려면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이런 이유로 정부와 SK텔레콤은 사고 후 가입자들에게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할 것을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습니다. 유심보호서비스는 평소 사용하던 휴대폰이 아닌 다른 기기에서 내 이름으로 통신망에 접속하려 하면 이를 자동으로 막아주는 안전장치입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내 유심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해커가 다른 기기에 복제해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휴대전화 복제와 같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게 SK텔레콤의 설명입니다.
가입자인 척 회원가입•결제할 수도...스마트폰 복제 위험도
유심은 휴대전화 안에 들어 있는 작은 칩으로, 그 안에는 가입자가 본인임을 인증하거나 온라인에서 무언가를 살 때 꼭 필요한 개인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 해커가 가입자들의 유심 속 정보로 특정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거나 통장을 만들고 결제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게다가 가입자의 유심 정보로 유심을 복제한다면 복제폰을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되면 범죄 집단이 가입자의 문자 메시지나 전화 등을 가로채는 '심 스와핑' 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휴대전화 복제 막으려면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이런 이유로 정부와 SK텔레콤은 사고 후 가입자들에게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할 것을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습니다. 유심보호서비스는 평소 사용하던 휴대폰이 아닌 다른 기기에서 내 이름으로 통신망에 접속하려 하면 이를 자동으로 막아주는 안전장치입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내 유심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해커가 다른 기기에 복제해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휴대전화 복제와 같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게 SK텔레콤의 설명입니다.
쿨리가 간다X꼬꼬단
뉴스 키워드: 해킹
해킹은 허락받지 않은 누군가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에 몰래 침입해서 정보를 빼내거나 조작하는 행동을 말해. 그리고 해킹을 하는 사람들을 해커라고 해. 해커들은 개인정보를 훔쳐서 팔거나, 범죄에 악용하기도 하고, 기업의 시스템을 망가뜨리기도 해. 예컨대 국가 기밀을 보유하고 있는 시설이 해커의 침입을 받으면 나라와 국민의 안전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이번 SK텔레콤 사고처럼 해킹 피해가 발생하면 많은 사람들의 소중한 개인 정보가 범죄집단에 노출되고 금전적인 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어. 우리의 스마트폰에는 전화번호나 사진만 있는 게 아니야. 우리가 본인이라고 증명할 수 있는 각종 정보와 금융거래에 꼭 필요한 정보도 가득 담겨 있지. 따라서 우리의 휴대폰과 각종 개인정보가 해커나 범죄집단에게 넘어가지 않도록 늘 철저하게 관리해야 해.
[뉴스 Q&A]
Q. 스마트폰을 어떻게 복제해?
스마트폰 자체를 복제하는 건 어려워. 하지만 누군가 내 휴대전화 안에 들어 있는 유심(USIM) 카드를 복제하면, 다른 휴대전화가 내 전화기와 똑같이 바뀔 수 있어. 이를 '심 스와핑'이라고 해. 해커들은 유심 안에 들어 있는 전화번호나 가입자 정보를 몰래 빼내서 복제 유심을 만들어. 그런 다음, 이 복제 유심을 다른 휴대폰에 꽂으면, 그 폰이 내 전화번호를 가진 것처럼 작동하게 돼. 이렇게 하면 내 이름으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고 나에게 걸려오는 전화나 문자메시지를 가로챌 수도 있어. 복제폰으로 내 정보를 훔치거나 사기를 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해.
📖
내용 정리하기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스마트폰을 복제하는 '심 스와핑'을 당하면 어떤 피해를 입게 될까?
3. 지금 SK텔레콤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스마트폰을 복제하는 '심 스와핑'을 당하면 어떤 피해를 입게 될까?
3. 지금 SK텔레콤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QUIZ : 다음 각 문장이 설명하는 용어를 보기에서 찾아 괄호 안에 기호를 써 넣어봐. [내용 이해]
유심 | 심 스와핑 | 해커
① 허락받지 않은 타인의 스마트 기기에 몰래 들어가 개인정보를 빼내거나 기기를 조작하는 사람
② 휴대전화 안에 담긴 작은 칩, 가입자가 본인임을 인증하거나 결제할 때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③ 다른 휴대전화에 내 휴대전화를 그대로 복제해 사용하는 것.
정답 : ① 해커 ② 유심 ③심스와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