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리가 간다] 제주바다가 사막이 되고 있다고?

🔎
오늘 뉴스의 키워드
해조류
🌅
최근 제주도 바다의 빛깔이 에메랄드 빛으로 변해서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고 있대. 에메랄드 빛이면 무척 아름다울 텐데 왜 걱정을 하냐고? 사실... 제주도 바다의 색은 에메랄드빛이 아닌 시꺼먼 색이거든... 에메랄드빛이 더 마음에 드는 사람도 있겠지만, 이건 결코 좋은 일이 아니래. 이유가 뭘까? 쿨리가 알아봤는데, 한 번 들어 볼래?
🏜️
에메랄드빛 제주 바다? 사실은 '사막이 된 바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출산을 하거나 생일을 맞으면 미역국을 끓여먹습니다. 미역은 제주도, 부산, 포항 등 주로 남해 인근 바다에서 채취하는데요. 앞으로는 생일에 미역국을 먹기도 어려워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최남단인 제주도의 미역이 자취를 감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뜨거워진 바다, 녹아버린 미역
제주도 바다에서 미역이 사라지고 있는 것은 지구온난화 때문입니다. 미역은 25도 이상의 수온에 장시간 노출되면 녹아서 흐물흐물해집니다. 그런데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매년 여름 제주도 바다의 수온은 25~30도 수준으로 높아졌습니다. 이렇게 매년 바다가 조금씩 더 뜨거워지면서 이제는 미역을 찾아보기 어렵게 된 것입니다.

자취 감춘 해조류, 하얗게 변한 바다
미역만 사라진 건 아닙니다. 같은 이유로 제주도 바다의 암반에 붙어 살던 톳, 감태, 모자반 등 해조류들이 모두 자취를 감췄습니다. 그리고 해조류를 먹고 자라는 성게, 소라, 전복, 어류까지 먹이 활동이 어려워지면서 개체수가 줄어 들고 있습니다.
생태계 균형이 무너지면서 바다 색깔도 변하고 있습니다. 제주도 바다는 원래 시커먼 빛깔을 띠는 것이 특징입니다. 바닷속 해조류가 마치 숲을 이룬듯 풍부해 바닷물도 어둡게 보이는 것이죠. 하지만 해조류들이 사라진 암반에는 산호와 같은 석회조류가 무성해졌고, 바다의 빛깔도 사막처럼 하얗게 변해버렸어요. 이와 같은 현상을 '갯녹음 현상'이라고 하는데요. 현재 제주 암반의 약 40% 정도에서 갯녹음이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쿨리가 간다X꼬꼬단

뉴스 키워드: 해조류

해조류는 바다에서 사는 식물이야. 미역, 톳, 다시마, 김, 파래 등이 모두 해조류에 포함되지. 해조류는 포자 식물이야. 포자 식물은 꽃이 피지 않고 씨가 아닌 포자로 번식하는 식물을 말해. 물 밖에 사는 녹색식물처럼 광합성을 하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해. 그래서 해조류는 지구온난화를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전 세계에서 해조류를 식재료로 즐겨 먹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일본뿐이야. 그래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해조류를 '바다의 채소'라고 불러. 하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해조류를 '바다의 잡초'라고 불러.

[뉴스 Q&A]

Q. 미역이 사라지면 안 먹으면 그만 아니야?

바다에서 해조류가 사라지는 것은 단지 우리가 먹을 음식의 종류가 하나 줄어드는 정도의 문제가 아니야. 제주 바다에는 원래 해조류가 숲처럼 빽빽하게 숲을 이루고 있었어. 그런데 그렇게 많던 해조류가 감쪽같이 사라져 버렸어. 해조류가 없으면 다른 바다 생물들의 삶도 뒤바뀌게 돼. 해조류는 수많은 바다 생물들의 서식처이자 은신처야. 해조류 속에 알을 낳고, 해조류를 먹으며 살아가거든. 성게를 예로 들어 볼게. 성게는 해조류를 먹으면서 살아. 그런데 해조류가 작아지고 줄어들면서 해조류를 뿌리까지 먹어치우고 있어. 전복, 오분자기, 소라 등도 해조류를 먹이로 하지. 숲이 없으면 육지의 생태계가 파괴되지? 이와 마찬가지로 해조류가 사라지면 바다의 먹이사슬도 깨지게 돼.

Q. 부산이나 포항 바다에서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제주도만큼은 아니지만 부산, 포항 등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남해 바다의 수온이 뜨거워지면서 해조류가 사라지고 해조류를 먹고 살던 바다 생물도 점차 사라지고 있지. 그리고 남해 바다에는 독성 해파리가 새롭게 터를 잡았어. 지금 우리나라 바다에서는 독성해파리로 인한 인명 피해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어. 또 동해와 남해에는 우리나라에서 자주 보기 어렵던 참치를 자주 볼 수 있게 됐다고 해. 이렇게 인근 바다에 살고 있는 바다 생물의 구성이 달라지면 우리가 즐겨 먹는 먹거리에도 변화가 생길 거야.


📖
생각 더하기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우리나라 바다에서 해조류가 모두 사라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3. 지구온난화로 우리나라의 먹거리 지도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조사해보자.

❓Q.  다음 친구들 중 오늘 기사의 중심 내용을 한 문장으로 잘 이해한 친구를 찾아봐.   [주제 찾기]

① 우혁: 생일에 미역국을 먹는 풍습이 사라지고 있다고 해.
② 희준: 김이나 미역 같은 해조류를 식재료로 쓰는 나라는 전 세계에 두 곳밖에 없어.
③ 재원: 그런데 지구온난화로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우리나라 인근의 해조류가 많이 사라지고 있대.
④ 승호: 미역은 제주도, 포항 등의 바다에서 주로 채취할 수 있다고 해.


정답 : ③


교과연계

4학년 2학기 사회 3. 사회 변화와 문화 다양성


함께 살펴볼 기사

그 많던 동해 오징어는 어디로 갔을까?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4년 1월 19일에 발행한 제82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앗! 뜨거워!’ 동해 떠난 오징어, ‘휴~ 시원해’ 동해 찾아온 방어뉴스쿨TV - 오징어야 남쪽보다 북쪽 바다가 시원해?PLAY - 2050년 특산물 지도 만들기BOOKCLUB - 사라진 오징어를 떠올리며 읽어볼 책#082 뉴스쿨
[쿨리가 간다] ‘이탈리아 파란 꽃게’ 우리나라에 올까?
😱다들 꽃게 좋아해? 나는 엄마가 해준 간장게장을 무척 좋아해. 냠냠 밥에 싹싹 비벼 먹으면 캬~ 정말 밥도둑이 따로 없어! 그런데 우리나라에 ‘파란색 꽃게’가 들어올 수도 있대. 이탈리아에 살고 있는 꽃게들인데 어마어마하게 많은 양을 수입할 수도 있다나봐. 파란색 꽃게는 먹어도 되는 걸까? 그리고 왜 이탈리아는 우리에게 꽃게를 보내는 걸까? 쿨리가 알아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