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쿨리가 간다] AI 장관이 탄생했다?!

📚
요즘은 AI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어. 그런데 얼마 전 어떤 나라에서는 AI 장관이 탄생했다고 해. 장관은 교육부, 환경부, 복지부처럼 나라의 중요한 일을 도맡는 부처를 이끄는 사람이야. 그렇게 중요한 일을 AI가 할 수 있을까? 어쩌자고 AI에게 이렇게 중대한 일을 맡긴 걸까? AI 장관이 하는 일이 무엇인지 쿨리가 알아봤어.
🔎
오늘 뉴스의 키워드
부패
🤷🏼‍♂️
“사람이 아닌 장관이 있다?”
최근 알바니아에서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 장관이 탄생했습니다. 주인공은 바로 ‘디엘라(Diella)’입니다. 디엘라는 알바니아 전통 의상을 입은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사실은 사람이 아니라 컴퓨터 화면 속에만 존재하는 AI입니다. 디엘라가 맡은 임무는 나라 운영에 꼭 필요한 물건을 사거나 공사를 맡기는 일로 디엘라의 공식 직함은 공공조달 장관입니다.

AI 챗봇 디엘라, '깨끗한 나라' 책임 안고 장관으로
알바니아가 장관 자리에 AI를 앉힌 데는 나름의 속사정이 있습니다. 알바니아는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가 발표한 2023년 부패인식지수(CPI)에서 180개국 중 98위를 차지했을 정도로 부패가 심각한 나라 중 한 곳입니다. 이 때문에 최근 알바니아 정부는 ‘부패 척결’을 국가의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는데요. 그러면서 막강한 권한을 가진 탓에 부정부패를 저지르기 쉬운 공공조달 장관 자리에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AI를 임명하게 된 것입니다.
디엘라는 본래 정부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서류 발급 절차를 안내하는 AI 챗봇이었는데요. 알바니아 정부는 그 동안 디엘라가 약 100만 건의 문의에 응답하며 민원을 해결했고 뛰어난 능력을 보여줬다며 장관이 될 만한 충분한 자격을 갖췄다고 평가했습니다.

18세 이상 시민만 장관 자격...반대 의견 잇따라
하지만 디엘라에게 장관 자리를 맡겨서는 안 된다는 반대 의견도 많습니다. 알바니아 헌법에는 장관이 18세 이상의 국민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AI는 국적도, 나이도 없으니 이 조건에 부합할 수 없고, 따라서 AI가 법적으로 장관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입니다.
아직 논란이 많지만 이번 시도는 AI가 정부나 기업, 나아가 사회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는 첫 걸음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는 AI가 한 기업을 이끄는 CEO, 나아가 대통령이 되는 세상이 올지도 모르겠습니다.

쿨리가 간다X꼬꼬단

뉴스 키워드: 부패

부패란 원래 깨끗하지 않고 썩는 것을 의미해. 사회에서는 권력을 가진 사람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규칙을 어기고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것을 부패라고 하지. 예컨대 누군가가 공정한 경쟁 없이 돈을 주고받아 일을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결한다면 그것이 바로 부패야. 부패가 많아지면 정직하게 노력하는 사람들이 손해를 보고, 나라 전체가 신뢰를 잃게 돼. 그래서 많은 나라들이 부패를 막기 위해 제도를 만들고, 일이 깨끗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다양한 감시 장치를 마련하지.

[뉴스 Q&A]

Q. 장관은 어떤 일을 할까?

장관은 정부를 구성하는 여러 부를 이끄는 사람이야. 2025년 9월 현재 우리나라 정부에는 19개 부가 있지. 각 부는 교육, 경제, 외교, 국방, 통일 등 나라의 행정을 나누어 맡아서 국민이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하도록 돕고 있어.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우리나라에선 정부의 각 부를 관리하며 대통령을 돕는 역할을 국무총리가 맡고 있어. 그리고 정부의 각부에서는 많은 공무원이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위해 여러 가지 일을 하지.

AI가 장관을 맡았다는 건 단순히 AI가 사람의 일을 대신하는 것을 넘어서 나랏일을 결정하고 조율하는 역할, 나아가 그 부처의 많은 공무원들을 관리하고 주요 정책을 추진하는 역할까지 맡게 됐다는 것을 의미해. 알바니아의 파격적인 시도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우리 모두 관심 있게 지켜보자.

우리나라의 정부 조직도
📖
내용 정리하기
1. 오늘 기사의 핵심 내용은 무엇일까?
2. AI가 장관이 되면 생기는 문제점은 없을까?
3. 디엘라가 장관이 되면 부정부패가 사라질까?

❓QUIZ :  다음 중 [쿨리가 간다]의 내용을 잘못 이해한 친구를 모두 골라봐.

① 도연: 디엘라는 살아 있는 알바니아 국민이야.
② 채원: 디엘라는 알바니아 AI 챗봇으로 활약했어.  
③ 나연: 디엘라는 18세가 넘은 성인이기 때문에 장관이 될 수 있어.
④ 수지: 디엘라는 사람이 아니라 컴퓨터 화면 속에만 존재하는 AI야.

👉🏻정답 : ①, ③


함께 읽어볼 기사

[쿨리가 간다] 사람처럼 움직이는 로봇들의 마라톤...그 결과는?
📚요즘은 영화에서나 볼 법한 신기한 로봇들이 점점 현실에 등장하고 있어. 언젠가는 로봇이 우리와 일거수일투족을 함께 하는 날이 올 텐데, 그 날이 정말 가까워진듯해. 얼마 전 중국에서는 로봇들이 마라톤 대회에 나갔어. 세계 최초로 열린 로봇들의 마라톤 대회야. 그런데 경기 결과가 생각만큼 좋지는 않았다고 해. 인간처럼 엄청난 속도로 질주할 줄 알았는데 그렇지는
인공지능으로 달라진 우리집을 소개합니다!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5년 1월 10일에 발행한 제131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내가 사는 도시를 인공지능으로 채운다면뉴스쿨TV - AI에게 모든 걸 맡겨도 될까?PLAY - 미래를 바꿀, 나의 발명품을 소개합니다BOOKCLUB - 책으로 만나보는 스마트홈, 스마트시티🤓매해 이맘때가 되면 전 세계 사람들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우리의 교과서가 AI라면?
이 콘텐츠는 뉴스쿨 News’Cool이 2025년 2월 7일에 발행한 제134호 이번 주 뉴스쿨입니다.‌ 이번 주 뉴스쿨에서 다루는 이야기는... HEADLINE - 내게 꼭 맞는 맞춤형 교과서 vs 뇌를 망가뜨리는 디지털 기기 뉴스쿨TV - 이런 것도 법으로 정한다고요?!PLAY - 내 교과서가 디지털 AI 교과서가 되는 것에 ◯◯합니다.BOOKCLUB - 법 만드는 과정을